탁구

[ 2차시] 기초기술 익히기(공 익히기, 그립, 포핸드 롱)

예성 예준 아빠 2010. 2. 13. 06:55
[ 2차시]  기초기술 익히기(공 익히기, 그립, 포핸드 롱)


1. 목표

■ 심동적 목표:자신에게 알맞은 그립을 택하여 포핸드 롱을 칠 수 있다.

■ 인지적 목표:그립 방법과 포핸드 롱 타법의 방법을 이해한다.

■ 정의적 목표:

1.탁구장 이용과 관련된 매너를 지킨다.



2. 준비 운동

운동을 실시하기 전에 본 운동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운동 신경에 자극을 주어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준비 운동을 필히 실시하도록 한다.
 <준비운동의 예>
동작 실시 방법 동작 실시 방법
팔꿈치를 직각으로 굽히고 두 팔꿈치를 모은다.두 팔을 펴면서 팔을 아래로 떨구며 앞뒤로 흔든다. 다리를 어깨 넓이의 2배 정도로 벌리고 기마 자세로 앉는다. 두 손을 무릎에 오려 놓고 한쪽 어깨씩 앞으로 내민다.
발은 어깨 넓이로 벌리고 손가락은 서로 깍지를 끼어 팔을 높이 든다. 팔을 최대한 위로 뻗으며 양쪽으로 서서히 구부린다. 바닥에 다리를 펴고 엎드린다. 두 손을 천천히 펴면서 상체를 들어올린다.
바닥에 앉아 한쪽 다리의 발목을 두 손으로 감싼 후 가슴쪽으로 천천히 끌어당긴다. 바닥에 누워 한쪽 무릎을 세우고 다른 한쪽 다리를 두 손으로 잡아 가슴쪽으로 끌어당긴다.



3. 공 익히기

라켓으로 공을 튀겨보게 하여 참가자들이 탁구에 어느 정도 익숙한지를 점검하고, 참가자들이 익숙해질 때까지 연습하도록 지도한다.

<공 익히기 지도 방법>
내용 지도 방법
공 만지기 지도자를 중심으로 참가자들이 반원을 그린 상태로 하여 집합시킨다. 탁구공을 개인 당 한 개씩 나누어준다. 탁구공이 구기 운동 종목 가운데 가장 작고(지름 40mm), 가장 가벼우며(2.7g), 가장 회전이 많고(초당 100회), 가장 빠르다는 것(상대 코트 도달 시간 (0.2초)을 설명하면서 촉감을 느끼도록 한다.
공 익히기 참가자들을 양팔 간격으로 다시 정렬시킨다. 그립의 상태에 관계없이 공 튀기기를 연습한다. 처음에는 한쪽 면만을 이용하여 포핸드로 공을 튀겨보고, 다음은 백핸드로 공을 튀긴 후, 마지막으로 양 면을 번갈아 가면서 연습한다. 참가자 스스로 목표를 정하게 하고 달성하도록 한다.



4. 그립

공 익히기를 통해 탁구공과 라켓의 임팩트 감각을 느낀 다음에 참가자들에게 손이 저리지 않는지 물어보고 만약 그렇다면 그립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립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명해준다.
<그립의 지도방법>
구분 지도 방법
펜홀더   그립 지도자를 중심으로 참가자들이 반원을 그린 상태로 하여 집합시킨다. 지도자의 그립 상태를 보여주어야 하므로 최대한 밀착시킨다. 라켓을 잡는다'라는 의미를 대부분의 참가자가 힘을 주어 꽉 잡는 것으로 오해하는데 이는 탁구공과 라켓이 만나는 임팩트 순간에만 이루어져야 함을 알려준다. 리가 볼펜을 잡고 있을 때와 그 볼펜으로 글을 쓸 때 힘을 주는 방법의 차이가 있듯이 임팩트 순간 이외에는 그림과 같이 달걀 한 개가 들어있는 듯한 느낌으로 부드럽게 잡아야 하고, 손목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잡아야 함을 알려준다. 참가자 가운데 처음 산 라켓을 가지고 와서 그립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손에 맞도록 깎아야 함을 알려준다. 쇼트 타법과 롱 타법의 차이점은 지도서를 참고하여 설명해주고 쇼트 타법과 롱 타법의 중간 정도로 그립하도록 지도한다. 탁구공 없이 그립한 상태로 포핸드와 백핸드를 치는 스윙을 해보도록 지도한다.
셰이크핸드 그립 라켓의 면이 안보이도록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라켓과 악수를 한다는 기분으로 쥐는 것으로 펜홀더 그립은 엄지와 검지가 한 면에 있지만, 셰이크핸드 그립은 서로 반대에 있음을 설명한다. 엄지와 검지를 제외한 세 손가락은 라켓 손잡이를 비스듬하게 하여 감싸쥐는 형태를 취하도록 지도한다. 엄지와 검지는 서로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고 나머지 세 손가락과도 평행을 유지하도록 지도한다. 엄지손가락을 라켓의 윗부분 방향으로 세우게 될 경우 포핸드 스트로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검지손가락을 라켓의 윗부분 방향으로 세우게 될 경우 백핸드 스트로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편안하게 다섯 손가락이 가지런히 놓일 수 있도록 지도한다. 탁구공 없이 포핸드와 백핸드를 치는 스윙을 해보도록 지도한다.





5. 포핸드 롱


스트로크 연습에 앞서 자신에게 맞는 그립으로 라켓을 잡고 공 익히기 연습을 다시 한번 실시한 뒤에 포핸드 롱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포핸드 롱의 단계별 지도는 참가자 전체를 탁구대 주위에 모아놓고 시범과 설명을 통해 지도한다.




<포핸드 롱의 단계별 지도방법>
단계 지도 방법
기본 자세 포핸드 롱의 기본 자세 그림은 지도서를 참고한다. 어깨, 팔꿈치, 무릎 등에 들어간 힘을 빼고 볼을 주시하도록 한다. 무릎은 가볍게 구부리고 라켓은 가슴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라켓의 아래 부분보다 윗 부분이 지면과 가깝도록 하고 손목의 힘을 빼도록 한다.
백스윙 넘어오는 타구의 속도와 방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라켓을 과도하게 뒤로 빼지 않도록 하고 이를 위해 팔이 아닌 허리를 돌려 라켓을 뒤로 보내도록 한다. 즉, 오른발로 신체 중심을 이동시키면서 상체를 비틀 듯이 돌려주도록 지도한다. 공이 몸 가운데로 올 경우에는 왼발로 신체 중심을 이동시키면서 상체를 회전시켜 백스윙을 하도록 지도한다.
포워드스윙과
임팩트
공의 속도에 맞추어 포워드스윙이 시작되도록 한다. 공의 속도보다 빠를 경우 상대의 왼쪽으로 가게되고, 늦을 경우 상대의 오른쪽으로 가게됨을 알려준다. 신체 중심은 오른발에서 왼발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체를 왼발을 기준으로 회전시켜야 함을 알려준다. 백스윙에서와 마찬가지로 팔로 공을 치는 것이 아니라 허리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포워드스윙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무릎은 타구점이 높을 경우 펴지고 낮은 경우 굽혀짐을 설명하고 팔의 높이를 조정하여 타구가 되지 않도록 지도한다. 스윙을 하는 동안 팔꿈치의 각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공이 몸 가운데로 오거나 멀리 가더라도 90°∼120°를 유지하도록 지도한다.
팔로스루 타구 후에는 중심을 왼발로 이동시키고 라켓은 얼굴 앞까지 이동한 후 기본 자세로 돌아오도록 지도한다. 왼쪽 무릎을 약간 굽히면서 지나친 중심 이동이 되지 않도록 하고 몸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팔로스루가 제대로 진행되어야 공에 힘이 실려짐을 강조하고 다음 타구의 준비를 위해 신속하게 원위치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6. 포핸드 롱의 연습 방법
거울을 통한
스윙 연습
자신의 포핸드 롱 자세를 지도자나 동료를 통해 교정 받을 수도 있지만 거울을 앞에 놓고 연습함으로써 본인 스스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동료와의 연습 한 사람은 던져 주고 다른 한 사람은 포핸드 롱 하는 방법으로 서로 번갈아 가며 연습한다. 잘 될 경우 두 사람 모두 포핸드 롱으로 주고받는 연습을 한다. 처음에는 주고받는 횟수를 목표로 하며, 잘되는 조는 크로스 방향과 스트레이트 방향으로 포핸드 롱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코스로 포핸드 롱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7.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등급의 '상'은 해당 항목의 목표를 의미하며 '중'은 차시 단계로 진행하여도 지속적인 연습이 필요한 정도를 말하며, '하'는 차시 단계로의 진행보다는 해당 기술을 더 익혀야 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립과 포핸드 롱의 평가>
항 목 등급 평가기준
그립 펜홀더 또는 셰이크핸드 그립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타구의 방향에 따라 그립이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과도한 힘을 주면서 그립을 한다.
포어핸드롱 기본자세 전신에 힘을 빼고 라켓의 높이가 가슴 높이에 있다.
상체가 숙여져 있지 않고 다소 불안하다.
긴장을 하고 있으며 왼팔과 무릎이 펴져 있다.
백스윙 신체 중심을 이동하고 허리를 이용하여 회전한다.
팔의 상박부위와 몸과의 거리가 다소 벌어져 있다.
상체가 돌아가지 않고 팔을 길게 뻗어 백스윙을 한다.
스윙과임팩트 허리를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팔꿈치의 각도가 일정하다.
라켓의 중앙부위에 정확하게 공을 맞추지 못한다.
라켓이 열려져 있어 볼의 진행방향이 위로 튀긴다.
팔로 스루 공을 끝가지 주시하면서 라켓을 얼굴 높이까지 이동시킨다.
라켓을 얼굴 높이까지 이동시킨 후 기본자세로 돌아오는 것이 늦다.
임팩트 후 바로 라켓이 아래로 떨어진다.





2) 클리닉
<그립과 포핸드 롱의 클리닉>
구분 수정 내용
그립 · 편안하게 그립하고 있는지를 주시하고 교정해준다. · 손가락의 위치가 정확한지를 파악하여 교정해준다.
기본 자세  
백스윙  
포워드 스윙 · 신체 중심이 오른발에서 왼발로 이동되고 있는지 살펴준다. · 어깨가 아닌 팔꿈치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있는지 파악해준다.
임팩트 · 임팩트 순간의 팔꿈치 각도가 적정하도록 유도한다. · 임팩트 순간 공이 라켓의 중심 부위에 맞도록 요구한다.
팔로스루 · 균형을 이루었던 신체 중심이 왼발로 이동되도록 지도한다. · 얼굴 앞까지 라켓을 들어주도록 지도한다.





3) 과제


포핸드 롱의 기본 자세를 준비 자세와 연결 동작으로 반복 연습하고, 다음 차시에 학습할 쇼트의 자세와 연습방법을 알아오도록 한다

'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4차시] 응용기술 익히기 (서브와 리시브)  (0) 2010.02.13
[ 3차시] 기초기술 익히기(쇼트)   (0) 2010.02.13
4. 규칙  (0) 2010.02.13
응용기술  (0) 2010.02.13
3. 기초기술  (0) 201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