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에서의 기초기술은 포핸드 롱과 백핸드 쇼트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타법은 그립, 풋워크, 기본자세, 백스윙, 임팩트, 팔로스루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그립
그립이란 라켓을 쥐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펜홀더 그립과 셰이크핸드 그립이 있다.
(1) 그립별 장단점
그립은 종류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자신에게 적합한 그립을 선택하도록 한다.
|
<그립별 장단점> |
종류 |
그림 |
장점 |
단점 |
펜홀더 그립 |
 |
짧은 공 처리에 적합하다 타구 방향 조절과 섬세한 기술을 발휘하기에 좋다 포핸드 공격이 강하다 |
한쪽 면만을 사용하므로 백핸드 범위가 좁고 불편하다 좌우 수비 범위가 좁아 상대적으로 많이 움직여야 한다 |
셰이크 핸드 그립 |
 |
커트 타법에 유리하다 라켓 양면을 사용하므로 체력소모가 적다 백핸드 타법에 강하다 |
몸 중앙부와 네트 앞 짧은 공 처리가 어렵다 상대적으로 포핸드가 약하다 | |
(2) 펜홀더 그립의 종류
펜홀터 그립은 짧게 치거나 길게 칠 때 그립의 모양이 달라진다.
|
<펜홀더 그립의 종류> |
종류 |
그림 |
차이점 |
공통점 |
쇼트 타법형 |
 |
라켓 후면의 세 손가락이 둥글게 되어 있다. |
힘을 주어 꽉 잡지 않도록 하고 부드럽게 잡으며, 손목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잡는다. 펜홀더 그립의 라켓은 칼이나 사포를 이용하여 자신의 손에 맞도록 깎아주어야 한다. |
롱 타법형 |
 |
라켓 후면의 세 손가락을 길게 펴서 안정성을 높인다. | |
|
(3) 셰이크핸드 그립의 종류
셰이크핸드 그립은 공격형과 수비형의 그립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
<셰이크핸드 그립의 종류> |
종류 |
그림 |
차이점 |
공통점 |
공격형 |
  |
엄지손가락 또는 검지손가락을 세워 그립을 얕게 잡는다. |
라켓과 악수하듯이 엄지와 검지가 서로 반대의 면에 위치하고, 나머지 세 손가락은 몸통을 감아쥐는 형태가 된다. |
수비형 |
  |
엄지손가락 또는 검지손가락을 깊게 잡는다. | |
2) 기본자세
기본자세는 타법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다. 포핸드 롱 타법과 백핸드 쇼트 타법의 기본자세는 다음과 같다.
(1) 포핸드 롱 타법의 기본자세
포핸드 롱 타법의 기본자세는 포핸드로 오는 공을 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된다.
|
<포핸드 롱 타법의 기본자세> |
그림 |
그림 설명 |
중요 포인트 |
 |
눈은 공을 주시한다. 상반신은 앞으로 약간 숙인다. 양 팔꿈치의 각도는 모두 90°를 유지한다. 라켓을 가볍게 쥐고 손목을 이완시킨다. 탁구대와의 거리는 약 1m를 유지한다. 양쪽 무릎은 가볍게 구부린다. 체중을 발가락 부근에 싣는다. 발의 넓이는 어깨 넓이보다 약간 넓게 한다. |
백스윙을 할 때에는 팔이 아닌 허리의 회전을 이용한다. 양 팔꿈치의 각도는 모든 단계에서 동일하다. 양발에 균등하게 체중을 배분하다가 백스윙의 경우 오른발에, 팔로스루의 경우는 왼발에 체중을 이동시킨다. | |
(2) 백핸드 쇼트 타법의 기본자세
백핸드 쇼트 타법은 양 발의 간격을 넓혀 신체 중심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백핸드 쇼트 타법의 기본자세> |
그림 |
그림 설명 |
중요 포인트 |
 |
· 상반신은 앞으로 약간 기울인 자세를 유지한다. 오른쪽 팔꿈치의 각도는 모두 90°를 유지한다. 라켓은 몸 중앙이나 약간 왼쪽에 위치시킨다. 탁구대와의 거리는 30∼40cm 정도를 유지한다. 양쪽 무릎은 가볍게 구부린다. 오른발을 약간 앞으로 내민다. 스탠스는 어깨 넓이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
백핸드 자세는 포핸드와 반대로 자신이 쓰는 팔 쪽의 다리를 약간 앞으로 내민 자세를 취한다. 상대 공의 회전과 속도에 대한 자기 라켓의 접촉 각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공을 끝까지 주시한다. 스탠스를 넓게 잡아 하반신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
3) 풋워크
풋워크란 발을 움직이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정확하고 민첩하게 움직이는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1) 풋워크의 요령
■ 양 발을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움직인다. ■ 공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발을 먼저 움직인다. ■ 이동할 때에는 상하 이동을 적게 하고 앞으로 숙인 자세를 유지한다. ■ 5초간 7∼10회의 동작이 가능한 속도를 유지한다.
(2) 풋워크의 종류
기본적인 풋워크는 6가지로 구분되며 각각의 스텝을 충분히 연습해야 한다.
|
<풋워크의 종류> |
종류 |
사용 시기 |
그림 |
그림 설명 |
싱글 스텝 |
공이 몸쪽으로 날아와 한발만 움직이게 될 경우에 사용한다. |
 |
공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발을 축으로 하여 공과 가까운 발을 한 발 이동시킨다. |
체인지 스텝 (수비형) |
타구된 공이 몸에서 약간 떨어져 있어 싱글 스텝으로는 적절한 타구점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 사용한다. |
 |
공에서 가까운 발을 공 쪽으로 재빨리 한 발짝 내딛고 이어 다른 발을 움직인다(두 발은 평형을 이룬다). |
점프 스텝 |
공의 속도가 빠르지 않는 상태에서 공이 몸에서 약간 떨어져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 |
 |
공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발을 들어 공 방향으로 체중을 이동한 후 나머지 발을 작게 점프하면서 이동한다. |
크로스 스텝 |
체인지 스텝으로 공에 도달하기 힘든 경우에 사용한다. |
 |
공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발을 공 방향으로 먼저 내딛고 연속해서 나머지 발을 이동시킨다. |
사이드 스텝 (공격형) |
상대의 공이 자신의 백 사이드로 올 경우 포핸드로 공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
 |
왼발을 탁구대 왼쪽 모서리 부근으로 이동시킨 후 오른발을 움직여 중심을 잡는다(왼쪽 발이 오른 발보다 앞에 있다). |
쿠션 스텝 |
수비형 선수가 탁구대 멀리에서 커트를 계속 친 다음에 짧은 공을 공격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
 |
왼발을 전방으로 한 발짝 내딛고 중심을 왼발로 이동시킨 후 다시 한 발짝 더 왼발을 버티면서 점프한 후 오른 발을 이동하여 중심을 잡는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