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기술
탁구의 응용기술은 푸시, 스매시, 커트, 서브, 리시브, 로빙, 드라이브로 구분할 수 있다.
1) 스매시의 단계
스매시의 단계는 준비자세, 백스윙, 임팩트, 팔로스루로 구분된다.
|
<스매시의 단계>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18.jpg) |
준비 자세:스탠스를 넓게 잡고(어깨 넓이의 1.5배 이상), 왼발을 앞으로 내밀어 비스듬한 자세를 취한다.
백스윙:팔꿈치를 뒤로 이동시키면서 팔을 옮기고, 백스윙의 마지막에 팔이 완전히 펴져서는 안된다.
임팩트:체중을 왼발로 이동시키면서 허리회전을 이용하고, 공을 옆에서 때린다는 기분으로 라켓을 휘두른다.
팔로스루:허리와 라켓을 끝까지 돌려준다. | |
2) 포핸드 커트와 백핸드 커트의 비교
|
<포핸드 커트와 백핸드 커트의 비교> |
|
팔의 동작 |
라켓면의 움직임 |
포핸드커트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19.jpg)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1A.jpg)
팔꿈치의 각도를 좁힌 후 손목을 돌려 뒤로 젖힌 후 비스듬히 아래로 내리면서 팔꿈치의 간격을 넓히고 손목을 돌려준다. |
공의 아래 부분을 스치듯이 쳐 올리면서 라켓 헤드를 돌려 상대를 향하고 라켓 면은 위로 향하게 한다. |
백핸드커트 |
라켓 면이 수평이 되도록 하여 백스윙하며 임팩트 후 라켓을 들어올려 준다.
|
공의 아래 부분을 재빠른 스윙으로 떠올리듯이 회전을 가한다. | |
3) 쇼트와 커트의 비교
|
<쇼트와 커트의 비교> |
|
그림 |
정의 |
공통점 |
차이점 |
쇼 트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0.jpg) |
상대 타구의 힘을 이용해 짧게 되받아 넘기는 타법 |
주로 백핸드 타법에서 사용한다.쇼트와 커트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
임팩트 지점이 정점 혹은 정점에 이르기 전이며, 백스윙 시 라켓 면이 숙여진 상태를 유지하고 라켓의 높이는 최대 가슴까지이다. |
커 트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1.jpg) |
타구된 상대의 공에 후진 회전을 주는 타법 |
임팩트 지점이 하강 전기이며, 백스윙 시 라켓 면이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라켓 높이는 최대 어깨까지이다. | |
4) 서브
(1) 서브의 단계
서브의 단계는 준비자세, 토스, 백스윙, 임팩트, 팔로스루로 구분된다.
|
<서브의 단계> |
단계 |
그림 |
설명 |
준비 자세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2.jpg) |
상대의 위치를 확인하고 볼을 올려놓은 손이 탁구대보다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라켓은 가볍게 쥔다.스탠스는 어깨 넓이보다 넓게 잡는다. |
토스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3.jpg)
|
손바닥을 반드시 편다. 최소 16cm 이상 공이 올라간 후에 라켓으로 쳐야 한다. |
백스윙 → 임팩트 → 팔로스루 |
|
백스윙:공을 던지면서 백스윙을 완료하며 오른팔이 완전히 펴지지 않도록 한다.
임팩트:체중을 왼발로 이동시키며 손목, 팔꿈치, 어깨, 허리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팔로스루:라켓을 크게 휘두르면서 허리를 충분히 회전시키고 공을 끝까지 주시한다. | |
|
(2) 서브의 종류
서브는 회전을 주는 방법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
<회전에 따른 서브의 종류> |
종류 |
임팩트 방법 |
설명 |
전진 회전서브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7.jpg) |
타구하는 순간 라켓의 각도를 앞으로 기울이고 밑에서 위로 타구하므로 공의 속도가 빨라진다. |
후진 회전서브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8.jpg) |
타구하는 순간 라켓의 각도는 뒤로 기울이고 위에서 아래로 타구하므로 공의 속도가 느려진다. |
무회전 서브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9.jpg) |
공에 변화를 주지 않는 서브로 라켓면에 볼을 맞추어 그대로 밀어낸다는 느낌으로 친다 | |
(3) 서브에 따른 리시브 방법
서브에 가해지는 회전에 따라 리시브의 라켓 각도와 타구점을 달리해야 한다.
|
<서브에 따른 리시브 방법> |
서브 종류 |
라켓의 각도 |
임팩트 타점 |
설명 |
드라이브 (전진 회전) 서브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A.jpg)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B.jpg) |
라켓 면을 숙인 상태로 하여 튀어 오르는 공을 정점에 이르기 전에 재빨리 임팩트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커트(후진 회전) 서브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C.jpg)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D.jpg) |
라켓 면을 눕힌 상태로 하여 공이 정점에 이르렀을 때(A) 임팩트 하며, 공격적인 리시브의 경우 B에서 임팩트 한다. |
너클 (무회전)서브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E.jpg)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2F.jpg) |
라켓 면을 커트 서브에 비해 수직에 가깝게 눕힌 상태로 하여 공이 정점에 이르렀을 때 밀어내듯이 임팩트 한다. | |
5) 탁구의 경기 전형
탁구 경기의 전형은 주무기로 하는 타법에 따라 드라이브 주전형, 전진속공형, 커트주전형으로 나누는 방법과 경기하는 위치에 따라 전진형, 전중진형, 중진형, 중후진형, 후진형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
<위치에 따른 경기 전형 비교>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30.jpg)
|
종류 |
특징 |
약점 |
전진형 |
백스윙이 짧고 공이 정점에 오기 전에 처리하는 속전속결형. |
스탠스가 넓어 포핸드 쪽의 긴 공에 약하다. |
전중진형 |
전진형과 중진형의 공격을 융통성있게 구사하는 올라운드 플레이어. |
양 전형의 기술을 숙달하고 경기 형태를 자주 바꾸는 자체가 약점이다. |
중진형 |
강력한 드라이브를 주무기로 하는 공격형 |
네트 앞 짧은 볼 처리에 약하고, 펜홀더 그립의 경우 백사이드가 약하다. |
중후진형 |
강한 후진회전 타법을 위주로 하면서 후진형보다는 공격적인 전형 |
몸 중앙으로부터 라켓 핸드의 가슴과 어깨 쪽으로의 공격에 약하다. | |
[ 탁구지도안 ]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lec_top.gif) |
○ 탁구의 차시별 지도 계획 |
차시 |
과제(학습내용) |
1 |
탁구의 역사, 시설 장비, 규칙, 용어, 매너 |
2 |
기초기술 익히기(공 익히기, 그립, 포핸드 롱) |
3 |
기초기술 익히기(쇼트) |
4 |
응용기술 익히기(서브와 리시브) |
5 |
응용기술 익히기(드라이브) | |
[1차시] 탁구의 역사, 시설 장비, 규칙, 용어, 매너익히기
1. 목표 ■ 심동적 목표:탁구의 매너를 준수할 수 있다. ■ 인지적 목표:탁구의 역사, 시설 및 용구의 특징, 규칙, 용어를 이해한다. ■ 정의적 목표:탁구의 매너를 이해한다.
2. 탁구의 역사
|
구 분 |
내 용 |
탁구의 기원 |
탁구의 기원은 중세 이탈리아의 '루식 필라리스(Rusik Pilaris)'라는 유희에서 변한 것이라 하기도 하고, 15-16세기경 프랑스 궁전에서 행해진 '폼(la paum)'이라는 놀이가 변하여 탁구가 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영국의 식민지 국가에 거주하던 영국인들이 테니스에서 힌트를 얻어 더위를 피하여 실내에서 즐기는 유희로 변형시켰다는 1977년 국제탁구연맹의 발표가 통설이다. |
탁구 명칭의변화 |
지금의 탁구공은 미국에서 완구로 사용된 셀룰로이드를 이용하여 만들게 되었는데, 1900년에는 판자에 송아지 가죽을 펴서 붙인 라켓으로 이 공을 쳤다. 이 때 공이 튀길 때 나는 음을 따서 '핑퐁(ping pong)'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다가 1926년 국제탁구연맹이 발족되면서 '테이블 테니스(table tennis)'로 명칭이 바뀌게 되었다. |
탁구 규칙의 변화 |
제6회 세계선수권대회의 남자 단식 경기에서는 1점을 얻는데 약 1시간이 소요되었고, 남자 단체 결승전은 3일 동안 걸쳐 진행되는 등 처음의 탁구 경기의 규칙은 게임을 진행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이를 계기로 경기의 빠른 진행을 위한 규칙이 개정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네트의 높이를 낮추는 것과 시간 제한(촉진룰)을 두는 것이었다.2001년 중반까지는 한 사람이 자신의 서브권에서 5번의 서브를 넣으며 21점을 먼저 선취하는 게임을 하였으나, 현재는 2번의 서브를 넣으며 11점 선취하는 방법으로 규칙이 개정되었다. |
우리나라의 탁구 |
1924년 처음 소개되어 1932년 최초 일본 원정 경기에서 대승을 거두었으며, 1945년 조선탁구협회가 발족되어 전국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다. 1952년 제1회 아시아 탁구선수권대회를 시작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한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 정상권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 | |
3. 시설 장비
|
구분 |
그림 |
내용 |
탁구대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4F.jpg) |
견고한 목재(계수나무, 나왕)로 된 통판이나 합판 등으로 만들며 휘거나 미끄럽지 않고 빛이 반사되지 않아야 한다.규격:가로×세로 = 152.5cm × 274cm 높이는 바닥에서 76cm이며, 탁구대 중앙의 선은 0.3cm이다. |
라켓·러버·공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50.jpg) |
라켓은 나무판에 고무가 부착되지 않는 나무 탁구채 자체를 말하며, 크기·모양·무게에 제한이 없지만 반드시 목재이어야 한다.러버는 라켓에 붙이는 고무판을 말하며, 색깔은 짙은 단일색으로 무광택이어야 한다. 탁구공은 천연 수지인 셀룰로이드로 만들며 흰색과 오렌지색 두 종류가 있다. |
네트와 지주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51.jpg) |
네트는 그물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윗 부분은 폭1.5cm의 흰 천이 덮어씌워져 있다. 네트는 탁구대 표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팽팽하게 쳐야 하며 높이는 15.25cm이다.지주는 직격 2.2cm 이하의 원통형으로 양쪽 사이드 라인에서 직각으로 각각 15.25cm 돌출시켜 세운다. |
탁구 로버트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52.jpg) |
시속 20∼120km의 속도로 분당 90개까지의 볼을 나오게 할 수 있으며, Top-Spin과 Back-Spins, Side Spin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 좁은 공간과 짧은 시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집중력과 순발력, 판단력을 향상시킨다. |
탁구화 |
![](http://www.okpingpong.com/img/sense/E00053.jpg) |
탁구화는 가벼워야 하고 순간 정지 동작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좋아야 한다. 탁구화는 땀을 잘 흡수하면서도 통풍이 잘되며, 발바닥이 불편하여 물집이 잡히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한다.탁구 전용 신발은 이상의 조건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이므로 초보자도 전용 탁구화를 신어야 한다. |
펜스와 점수판 |
|
펜스는 자기 진영의 공이 바운드 된 후 다른 지역으로 달아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경기장은 길이 14m, 폭 7m로 설치한다. 점수판은 가운데가 세트 득실을 나타내며 양쪽이 게임 득실을 나타낸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