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

[ 3차시] 기초기술 익히기(쇼트)

예성 예준 아빠 2010. 2. 13. 06:55
[ 3차시]  기초기술 익히기(쇼트)


1. 목표


■ 심동적 목표:맞추기 쇼트 또는 커트성 쇼트를 할 수 있다.
■ 인지적 목표:쇼트의 타구점과 단계별 포인트를 이해한다.
■ 정의적 목표:상대방과의 랠리에서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를 갖는다.



2. 정리 운동


운동이 끝난 후에는 가벼운 조깅이나 걷기 그리고 스트레칭 등을 통해 정리 운동을 하는 것이 피로의 회복에 유리하다.

<정리 운동의 예>
동작 실시 방법 동작 실시 방법
어깨잡고 눌러주기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서서 어깨를 마주잡으며 몸을 굽혀 옆으로, 아래로 각각 8호간씩 실시한다. 손목·발목 털기 한 발로 서서 손목과 들여진 발목을 털어 주고, 반대 발로도 다시 실시한다. 한쪽 발 당 8호간 실시한다.
한 발로 서서 다리 뒤로 당기기 왼발로 평형을 잡고 오른발의 무릎을 굽혀 발목을 잡아 당긴다. 한쪽 발 당 8호간 실시한다. 깍지끼고 목 누르기 다리를 어깨 넓이로 벌리고 서서 깍지 낀 두 손을 머리 뒤로 감싸고 가볍게 16호간 눌러준다.
발뻗고 앉아 굽히기 발을 최대한 벌리고 앉아 앞으로, 좌측으로, 우측으로 각각 8호간씩 실시한다. 누워서 다리 들기 양팔을 옆으로 벌리고 누운 상태에서 한 발씩 교대로 16호간 들어 올린다.
어깨 눌러주기 무릎을 굽혀 양발을 엉덩이 쪽으로 붙인 다음 팔을 조금씩 뒤로 빼 최대한 뻗은 상태에서 서서히 8호간 눌러준다. 누워서 무릎 당기기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면서 복부 쪽으로 올리고 두 손으로 무릎을 잡아당긴다. 각각 8호간 실시한다.






3. 그립과 포핸드 롱 복습하기


지난 차시에 배운 포핸드 롱을 정확한 그립을 통해 10분간 복습하면서 감각을 익히도록 한다.
<그립과 포핸드 롱의 복습>
내용 지도시 점검 내용 연습 방법
그립 펜홀더의 그립에서 엄지와 검지를 제외한 세 손가락이 가지런히 모아져 있는지 확인한다. 손목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되는지 확인한다. 전체를 한 곳에 모아 지난 차시에 배운 그립과 포핸드 롱의 중요한 포인트에 대해 시범과 설명을 한다. 2인 1조로 하여 포핸드 롱을 하도록 하고, 지도자는 순회하면서 교정해준다.
포핸드 롱 팔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허리를 돌려서 회전하는지 확인한다. 팔로스루 동작까지 부드럽게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4. 쇼트의 단계


백핸드 쇼트는 기본 자세, 백스윙, 임팩트, 팔로스루로 구성된다. 쇼트의 단계별 지도는 참가자 전체를 탁구대 주위에 모아놓고 시범과 설명을 통해 지도한다.
<백핸드 쇼트의 단계별 지도방법>
단계 지도방법
기본 자세 백핸드 쇼트의 기본 자세 그림은 지도서를 참고한다. 기본 자세는 경기 전형이나 체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허리를 높게 하고 몸은 조금 앞으로 구부리며, 양발은 코트의 끝부분에 거의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지도한다. 백핸드 쇼트는 나의 힘에 의해 공을 넘기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 타구를 라켓 각도를 조절하여 되받아치는 것이므로 스탠스를 넓게 잡고 하반신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프리 핸드를 오른손의 각도와 같이 유지하고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백스윙 허리를 돌리면서 오른쪽 어깨를 앞으로 기우려 비스듬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백핸드 드라이브 자세가 나오지 않도록 한다. 팔만으로 라켓을 당기지 않도록 한다.
임팩트 백스윙 때의 허리 회전을 다시 푼다는 감각으로 자연스럽게 라켓이 나가도록 하며, 팔로만 치지 않도록 한다. 쇼트 타법의 기본은 넘어온 공이 바운드 한 직후에 치는 것임을 강조하고, 다만 초급자의 경우 이를 응용하기 어려우므로 바운드 한 직후부터 정점에 이르기까지의 순간 중 하나의 지점을 선택하여 임팩트 하도록 지도한다. 무회전 되어 넘어오는 공은 임팩트 하는데 별 무리가 없으나 전진 회전 또는 후진 회전의 경우 라켓의 각도를 달리해서 임팩트해야 함을 알려준다. 초급자의 경우 대부분 라켓 면이 하늘 방향으로 되어 있어 공이 높게 튀면서 넘어가게 되는데, 처음부터 라켓 면이 상대방을 향하도록 지도한다.
팔로스루 쇼트 타법의 스윙은 간결하게 마무리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임팩트 후 어깨 높이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눈은 멀어져가는 공을 끝까지 주시하도록 지도한다.







5. 맞추기 쇼트와 커트성 쇼트의 지도


쇼트는 초급 단계에서 맞추기 쇼트와 커트성 쇼트를 익히며, 중급 단계에서 푸시성 쇼트와 스톱성 쇼트를, 상급 단계에서 드라이브성 쇼트와 너클성 쇼트를 익히게 됨을 알려주고 백핸드 쇼트의 단계별 지도를 토대로 맞추기 쇼트와 커트성 쇼트를 실제 지도하도록 한다.  맞추기 쇼트는 라켓의 각도만을 이용하여 상대의 공을 그대로 받아넘기는 쇼트의 기본 기술이다.

<맞추기 쇼트의 연습방법>
table탁구대 센터 라인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고 서서 1명은 던져주고 1명은 쇼트 할 준비를 한다. table동료와의 연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던져주는 공이 정확한 위치에 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공을 던져주는 것을 쉽게 생각해서 아무렇게나 던져주게 되는데, 던지는 사람은 동료가 연습이 되도록 심혈을 기울여 던져야 한다. table던지는 방법은 탁구공을 쥔 손이 얼굴에 오게 하여 다트를 던지듯이 손목을 이용하여 던지도록 하며, 처음부터 던지는 공의 속도가 빠르게 되면 쇼트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최대한 느리게 보내준다. table던지는 공의 포물선이 너무 높게 올라가거나 너무 낮을 경우에도 쇼트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치기에 적당한 높이로 던져야 한다. table넘어간 공이 바운드 되는 위치는 상대가 움직이지 않아도 쇼트가 되는 위치이어야 한다. table쇼트를 하는 사람은 쇼트 된 공이 네트를 넘어가 원바운드 되어 던지는 동료가 받을 수 있도록 라켓의 각도만을 조절하여 넘기도록 한다. table맞추기 쇼트는 라켓 면이 상대방을 향해 있어야 한다. 만약 라켓 면이 하늘 방향으로 향하고 있을 경우 교정시켜 주도록 한다. table상대방이 던져주는 공이 짧거나 길 경우 팔을 뻗어 임팩트 하지말고, 발을 움직여 이동하여 임팩트 하도록 지도하며, 맞추기 쇼트는 상대방이 스매시하거나 드라이브를 했을 경우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비 기술임을 알려준다. table지도자는 탁구대를 순회하면서 연습공을 쳐주도록 한다. table맞추기 쇼트가 잘 되는 조는 다음의 커트성 쇼트를 연습하도록 지도한다.
<커트성 쇼트의 연습방법>
커트성 쇼트는 맞추기 쇼트에서 한 단계 발전된 기술로 맞추기 쇼트가 라켓 면을 상대방을 향하도록 하는 반면, 커트성 쇼트는 하늘 방향으로 하여 후진 회전을 가하는 기술임을 알려준다. · 일반적인 커트의 경우에는 공과 라켓의 임팩트 시간을 길게 하고 상대방 진형 깊숙한 곳으로 반구하지만, 커트성 쇼트는 순간적인 임팩트와 네트를 살짝 넘기는 타법임을 알려준다. · 맞추기 쇼트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고 서서 던져주고 쇼트 하는 연습을 한다. · 던져주는 공에 회전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맞추기 쇼트보다 리바운드 되는 공의 각도가 더 위로 커지게 되어야 올바른 커트성 쇼트임을 알려준다. · 맞추기 쇼트는 라켓의 각도만을 조절하지만 커트성 쇼트는 신체를 앞으로 이동하여 커트를 하는 타법임을 알려준다.







6. 쇼트의 연습 방법


쇼트의 연습은 동료가 던져준 공을 쇼트로 넘기는 연습에서부터 연결 동작으로 연습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쇼트의 연습 방법>
동료가 던져준 공 쇼트 연습  
동료가 서브한 공 쇼트 연습 · 한 사람은 서브를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쇼트를 하는 방법으로 서로 번갈아 가며 연습한다.
동료가 포핸드 롱한 공 쇼트 연습 · 동료의 서브를 쇼트로 넘기면 다시 포핸드 롱으로 넘기고 이를 쇼트로 계속 연결하는 연습을 한다.
동료가 쇼트한 공 쇼트 연습 · 한 사람의 서브로 시작하여 다음 공부터 계속해서 서로 쇼트로 주고받는 연습을 한다.
연결 동작 연습 · 서브 → 쇼트 → 포핸드 롱 → 쇼트 → 쇼트 → 포핸드 롱 등으로 서로 번갈아 가며 쇼트와 포핸드 롱 연습을 반복 연습한다.








7.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백핸드 쇼트의 평가>
항 목 등급 평가기준
기본자세 · 포핸드 롱 자세보다 허리를 높게 하고 양발을 넓게 하여 최대한 안정이 되어 있다.
· 양발 가운데 하나의 발이 지나치게 앞으로 나와있다.
라켓 면이 하늘을 보고 있으며, 프리 핸드가 펴져 있다.
백스윙 · 허리를 돌려 신체 중심을 이동한다.
· 상체가 탁구대와 너무 가까워진다.
팔로만 라켓을 당겨 신체 중심의 이동이 없다.
임팩트 회전된 상체를 허리를 이용하여 다시 회전시키며 라켓의 면이 상대방을 바라보고 있다.
라켓의 중앙부위에 정확하게 공을 맞추지 못한다.
라켓의 각도를 이용하지 않고 커트하듯이 임캑트 한다.
팔로스루 공을 끝까지 주시하고 라켓을 어깨 높이까지 이동시킨다.
라켓을 어깨 높이까지 이동시킨 후 기본자세로 돌아오는 것이 늦다.
임팩트 후 라켓면을 하늘 방향으로 하여 들어올린다.







2) 클리닉
<백핸드 쇼트의 클리닉>
구분 수정 내용
기본 자세 스탠스를 넓게 잡아 충분히 안정되어 있는지 지적해준다.탁구대와의 거리를 40cm 정도로 하고 있는지 지도해준다.
백스윙 라켓을 몸 뒤로 돌리거나 팔꿈치가 펴지지 않는지 파악해준다. 허리의 회전을 이용하여 백스윙 하도록 권고해준다.
임팩트 임팩트 순간 턱이 들리지 않도록 요구한다.신체 중심이 몸 뒷부분에 가 있도록 지도해준다.
팔로스루 프리 핸드를 뒤로 빼는지 파악하여 알려준다.라켓의 높이가 어깨 높이까지만 올라가는지 지적해준다.






3) 과제


이번 주에 배운 쇼트의 기본자세와 스윙 연습을 계속하여 자동적으로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다음 주에 학습할 서브와 리시브에 대하여 자료를 찾아보고 예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