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핌플 전형과 상대하다 보면 공이 흔들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어떤 때는 공이 공중에서 좌우로 흔들리고, 어떤 때는 푹 가라앉거나 솟아 오르기도 합니다. 더 심한 경우에는 공이 가라앉다가 갑자기 옆으로 휘어 나가는 모습을 보기도 합니다. 이러한 마술 때문에 많은 아마추어들이 열광하고 전향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왜 공이 공중에서 흔들릴까요? 이에 대한 대답은, 평면러버로 공을 칠 때 왜 공이 흔들리지 않는지에 대한 의문부터 풀어보는 것이 쉬울 수도 있습니다.
직경 40mm의 탁구공은 무게가 고작 2.7g정도 밖에 나가지 않습니다. 즉, 공기중의 미세한 움직임도 탁구공의 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국군의 날 퍼레이드할 때 옥상에서 뿌려지는 오색 종이가 중력의 의해 위에서 아래로 곧게 떨어지지 않고 각기 이리저리 흔들리면서 내려오는 원리와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공은 항상 흔들리지 않을까요? 그 이유는 대부분의 경우, 공은 어떤 방향이든 회전을 하면서 비행하고 그 회전 에너지 때문에 공기 중의 미세한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맥누스 효과에 의해 횡회전 공은 회전하는 방향으로 휘면서 비행하고 하회전 공은 솟아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진회전과 횡회전이 섞인 공은 아래와 옆으로 휘며 하회전과 횡회전이 섞인 공은 중력을 이길 충분한 에너지가 있는 동안에는 솟아오르고 옆으로 휘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따라서 공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궤도를 가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공에 회전이 없거나 거의 없다면 어떨까요? 공에 회전이 없다면 공기 중의 미세한 움직임이라도 공의 궤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롱핌플의 가장 큰 특징이 바로 무회전 공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그러나 항상 마음대로 무회전 공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훈련을 통해 상대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무회전으로 바꿀 수 있다면 공은 공기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비행하게 됩니다. 공기의 흐름과 함께 중력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아랫쪽을 향한다면 공이 갑자기 뚝 떨어지기도 하고 공기의 흐름이 윗쪽으로 향하면 마치 공이 갑자기 솟아오르는 듯 할 것입니다. 실제로는 공이 솟아오르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공의 하강 속도보다 느리게 떨어지는 것입니다. 공기가 측면으로 흐른다면 공은 좌우로 휘게 되고, 공기의 흐름이 교차하는 지점을 공이 지난다면 마치 공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공의 흔들림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공을 인위적으로 흔들리게 하려면 공을 친 후에 공의 회전을 조절하거나 경기장의 공기 흐름을 바꿀 수 있어야 합니다.
요령이 있다면 상대방 공의 회전을 없앤 후 공기의 흐름에 맡기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의 회전을 테크닉으로 없앨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롱핌플은 평면러버에 비해 아주 쉽게 회전을 없앨 수 있게 해줍니다. 공이 라켓에 도착하면 러버 표면의 수많은 돌기들이 사방에서 공을 감싸쥐게 되고, 공이 돌기를 벗어날 때 돌기 마다 쓰러졌던 반대 방향으로 공을 회전시키려 하기 때문에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무회전 공을 뱉어내는 것입니다.
롱핌플로 공을 흔들리게 하는 방법은?
돌기가 충분히 휘어 모든 방향에서 공을 감싸쥘 수 있는 롱핌플 러버를 사용하고 라켓을 거의 세워서 타구하거나 약간만 공 회전의 역방향으로 타구하면 손쉽게 흔들리는 공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표면은 맨질맨질하고 기둥은 마찰이 큰 돌기를 가진 롱핌플 러버가 강한 루프 드라이브나 많이 깎인 하회전 공을 심하게 흔들리게 합니다. 상대의 공이 회전이 많고 강력할수록 (즉, 돌기를 더 구부러지게 하면 할수록) 무회전 공이 쉽게 만들어지며, 상대의 공이 약하거나 회전이 적당히 있으면 공은 계속 회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돌기가 가늘고 길수록 공의 흔들림이 더 심합니다. 돌기의 직경이 굵은 P2나 C7, C8 같은 돌출러버의 경우, 상대의 공이 소프트하거나 회전이 약할 때는 좀 더 스윙을 강하게 하면 무회전 공을 만들 확률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그런 이유로 “어떤 롱핌플 러버는 공격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가늘고 긴 돌출러버를 사용할 때는 높은 공을 스매싱할 때를 제외하고는 큰 스윙을 하는 것이 부담스럽습니다. 그 이유는 공기의 흐름이 어떻게 작용할 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기초기술 (0) | 2010.02.13 |
---|---|
1.2.탁구의 지식구조 (0) | 2010.02.13 |
여기에 서비스에 대한 규정을 올리신 것 같은데... 제가 다시 ITTF의 (0) | 2010.02.08 |
강한 루핑에 대한 블락 또는 푸쉬 (0) | 2010.02.08 |
한국식 쇼트 블락 푸쉬 (0) | 201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