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크레이션

실내팀웍 게임

예성 예준 아빠 2010. 12. 8. 18:14

실내팀웍 게임

 

실내팀웍 게임은 팀을 나누어 경쟁을 유도하고, 소속감 고취는 물론 개인보다 우리는 한마음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심어줌으로써 협동 단결하는 마음을 길러주는 계기를 마련한다.

실내팀웍 게임은 대표자 게임과 전체가 참여하는 게임으로 구분되며 실내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진행상 정리 단계인 전체가 하나로 뭉쳐지는 순간이기도 하다. 실내 팀웍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 재미만을 위해서 지나친 경쟁을 유도하여 각 팀간에 마음이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1.팀 구성 : 팀 구성은 모임의 대상과 성격에 의해 정할 수도 있고 앉은 대형을 구분하여 정할 수도 있다.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 해 연령과 성별을 적당히 배합하여 팀을 나눈다.
2.팀 이름 정하기 : 팀의 이름은 모임의 성격과 연관된 내용이나 친숙한 이름을 정하도록 한다.
※팀 이름을 정하는데 의견이 맞지 않아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다. 지도자는 이때를 대비하여 대상에 맞는 팀 이름을 생각해 두어야 한다.
3.응원전 : 소속감 고취와 단합을 위해 팀별로 찬송을 부르거나 구호를 외치도록 하며, 팀장에게 즉석에서 응원을 시켜도 좋다.
․대표자 게임
팀장의활동적 능력을 발휘하는 게임으로 팀별 경쟁이 충분히 되었을 때 시도하며 게임 소재는 무궁무진하다고 하겠다. 특히, 이 대표자 게임은 크게 진행 능력과 경험이 없는 초급 지도자가 부담 없이 진행할 수 있는 게임이기도 하다.
예를들어 지도자가 ‘어떤 물건 가지고 오기’ 또는 ‘율동 잘하는 사람, 찬송 잘하는 사람 모셔오기’등 지도자의 능력과 사전 게임 준비에 따라 장시간 지루하지 않게 진행할 수 있는 게임으로 가장 중점적으로 경쟁 동기 유발이 필요하다. 어린이의 경우 점수를 채점하거나 선물이 있으면 더욱 효과적이다.
1)물건 빨리 가지고 오기
☞“ 예, 수고하셨습니다. 이렇게 하는 거예요. 처음에 연습이라는 거 알죠.”
2)천 원짜리 지폐 5장 가지고 오기(확실한 경쟁심 유도를 위해)
☞(이때는 점수를 높여야 한다. 또한 빨리 가지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끝자리 수를 합한 수가 가장 높은 팀이 승리한다고 해야 모든 팀이 가지고 나오며 잘 안되면 팀장 자신의 돈이라도 가지고 나오도록 해야 한다.) 천원짜리 지폐의 끝번호를 보는 척 하면서 “ 오늘 하루 일당 했네. 그럼 이 돈으로 상금을 걸고 우승팀에게 모두 주어서 회식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박수 세 번 시작 짝짝짝 예. 만장일치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때부터 팀별로 활기찬 상황이 전개된다.
(돈은끝날 무렵에 점수에 상관없이 돌려준다.)
3)엉덩이가 가장 큰 사람 모셔오기
☞서로 상대편과 등을 대고 서서 엉덩이로 밀치기를 한다. 이긴 사람을 미스
‘방댕이’ 라 칭한다.
4)허리가 제일 날씬한 사람 모셔오기
☞처음 몸풀기로 배꼽으로 이름쓰기를 하고 실전으로 들어가 훌라우프 오래 돌리기로 승부를 내서 승리한 사람을 ‘미스 개미’ 라 칭한다.
5)폐활량이 큰 사람 모셔오기
☞대표들은 풍선이 터질 때까지 불어서 빨리 터뜨리는 사람이 승리하며 터뜨리는 방법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6)입술 큰 사람 모셔오기
☞각 팀의 대표들은 코와 입술사이에 연필이나 볼펜을 가로로 끼우고 상대편의 얼굴을 쿡쿡 찌른다. 웃으면 연필이 떨어지므로 웃지 않아야 한다. 승리한 사람에게는 ‘미스 우간다’ 라 칭한다.
7)입 큰 사람 모셔오기
☞각 팀의 대표들은 먼저 예선전으로 ① 쵸코파이 하나 한 입에 넣기 ② 쵸코파이 두 개 한입에 넣기를 해서 성공하면 세 개까지 시도해 승부를 가름하며 입 큰사람 대항을 할 때는 남자 대상을, 입 작은 사람 대항은 여자로, 작은 입술로 오무려 크기를 재면서 찬송부르기를 병행하면 된다. 입 큰 사람은 ‘미스터 죠스’
입작은 사람은 ‘미스 앵두’ 라 칭한다.
8)찬송 잘 부르는 사람 모셔오기
☞각 팀에서 찬송을 가장 잘 부르는 사람이 나와 찬송을 부르고 팀 구성원들이 찬송에 맞추어 응원과 전속 무용단이 되어 율동하는 게임으로 승부 판정은 팀 구성원의 참여도와 호응도를 보고 결정을 내린다.
․팀웍 게임
1)인간 바느질
․인원 : 팀당 7명 이내
․준비물 : 포크와 줄
․방법 : 팀별로 1열 종대로 서서 맨 좌측에 있는 사람부터 끈달린 포크를 좌 측 소매에서 우측 소매로 내보내 다음 사람도 동일 방법으로 통과시 켜 마지막 사람까지 전달한다. 판정은 빨리 통과시킨 팀의 승리
2)화장지 돌리기
․인원 : 팀당 20명 이내
․준비물 : 두루마리 화장지
․방법 : 팀 전체가 일렬로 서서 첫 번째 사람부터 끝까지 화장지를 끊어지지 않게 풀어서 전달하고, 다시 끝에서부터 풀린 화장지를 다시 감으면 서 앞으로 전달한다.
※화장지가 끊어지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3)뭉치면 산다
․인원 : 팀당 10명 이내
․준비물 : 신문 여러장
․방법 : 5~10명 단위로 팀을 나누고 신문을 펴서 그 위에 올라서는 게임이 다. 다시 반을 접었을 때 참가자들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신문 위에 올라설 수 있도록 밀착하거나 무등을 태우거나 업어도 된다. 신 문을 계속 반씩 접어서 게임을 진행한다. 팀 대표를 3명씩 해서 신문 위에 어느 팀이 얼마나 올라서는지를 알아볼 수도 있다.
4)종이 뒤집기
․인원 : 팀당 7명씩 2팀
․준비물 : 앞뒤의 색깔이 다른 두꺼운 종이 25장
․방법 : 각 팀은 자기 팀의 색깔을 정하고 다른 팀의 색깔을 자기 팀의 색깔 이 되도록 일정한 시간(2분 이내)에 빨리 뒤집는다. 시간이 지난 후에 어느 팀의 색깔이 많은 가에 따라 승부를 정한다.
5)신문으로 물컵 옮기기
․인원 : 팀 당 10명 이내
․준비물 : 신문 여러장, 물이 담긴 플라스틱 물컵
․방법 : 2인 1조로 신문의 양쪽 끝을 잡고 그 위에 물이 담긴 물컵을 놓고 반 환점을 돌아오는 게임이다. 중심이 흔들리면 물이 쏟아져서 신문이 찢 어지므로 물컵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천천히 걸어야 한다. 신문이 찢어지면 그 자리에서 다른 신문으로 교체한다.
6)공 운반하기
․인원 : 각 팀 10명 이내
․준비물 : 공 여러개, 막대기 여러개
․방법 : 2인 1조가 되어 막대기 2개를 가지고 서로 양쪽 끝을 잡고, 그 위에 2~3개의 공을 올려 놓는다. 이런 방법으로 반환점을 돌아오는 게임 으로 중간에 공이 떨어지면 그 자리에서 다시 얹어야 한다.
7)밀가루 속의 사탕을 찾아서
․인원 : 각 팀 10명 이내
․준비물 : 밀가루와 담을 그릇, 사탕, 훌라우프
․방법 : 출발선에서 훌라우프를 10번 돌리고 달려가서 밀가루 속에 있는 사탕 을 입에 넣고 돌아오는 게임이다. 승부는 빨리 찾는 사람이 아니라 얼 굴에 밀가루가 많이 묻은 사람이 승리한다.
8)게 걸음
․인원 : 각 팀 10명 이내
․준비물 : 공이나 풍선
․방법 : 2명이 한조가 되어 서로 등을 대고 팔짱을 낀다. 등 사이에 공을 넣고 반환점을 돌아와서 다음 조에게 넘겨주는 게임으로 풍선으로 할 경우 풍선을 터뜨리는 것으로 배턴 터치 신호로 할 수 있다.
9)꼬리 밟기
․인원 : 각 팀 10명 이내
․준비물 : 줄 달린 풍선
․방법 : 참가자들은 줄이 달린 풍선을 발목에 묶고 ‘시작’ 신호와 함께 상대편 의 풍선을 터뜨린다. 풍선이 터진 사람은 밖으로 나간다. 어느 편이든 풍선이 다 터질 때까지 계속해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