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세대 교회학교 교사의 정체성과 사명
유윤종 목사
Ⅰ. 5차원 교회교육론 : 교회교육에서 검증되어야 할 질문들
1. 교사의 관점에서
1) 교사 → θ : 교사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가르치는가?
2) 교사 → 학생 : 교사는 학생들의 필요와 학습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가?
3) 교사 → 말씀 : 교사가 말씀을 연구하는가?
4) 교사 → 세계 : 교사는 세계를 품은 그리스도인 인가?
2. 학생의 관점에서
1) 학생 → 성령(θ) : 학생이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배우고 익히며 성장하고 있는가?
2) 학생 → 교사 : 학생이 교사의 가르침을 잘 받아들이고 있는가?
3) 학생 → 말씀 : 학생이 스스로 말씀을 읽고 배우며 실천하려고 하는가?
4) 학생 → 세계 : 학생이 세계를 품은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고 있는가?
3. 교재(교육의 내용)의 관점에서
1) 교재 → 하나님 : 교재가 하나님의 뜻에 맞게 작성되었는가 ?
2) 교재 → 교사 : 교재가 교사가 잘 가르칠 수 있도록 조직되었는가 ?
3) 교재 → 학생 : 교재가 학생들의 연령, 필요 그리고 흥미 등에 부합되게 작성되었나?
4) 교재 → 세계 : 교재를 통하여 기독교인의 세계관을 정립할 수 있는가?
4. 하나님의 관점에서
1) 하나님 → 교사 : 하나님의 뜻이 교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가?
2) 하나님 → 학생 : 하나님의 뜻이 학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가?
3) 하나님 → 교재 : 하나님의 뜻이 교재에 잘 반영되어 있는가?
4) 하나님 → 세계 : 하나님의 뜻이 이 세계에 잘 실현되어 지고 있는가?
5. 세계의 관점에서
1) 세계 → 하나님 : 세상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습대로 변하고 있는가?
2) 세계 → 교사 : 세상의 문화와 가치에 대하여 교사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3) 세계 → 학생 : 세상의 가치와 문화에 대하여 학생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4) 세계 → 교재 : 세계의 가치관을 교재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
6. 무엇이 문제인가?
1) 교회학교 교사가 자기 정체성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
① 하나님의 뜻에 민감하지 못하다.
② 학생들의 필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
③ 말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④ 세계에 대한 비전이 부족하다.
2) 학생들의 온전한 성장을 위한 여건들이 갖추어 있지 못하다.
3) 교재가 교회의 교육목표를 이루는 디딤돌의 역할을 다 하고 있지 못하다.
4) 하나님의 뜻이 교회교육 현장에서 온전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5) 세상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재창조의 사역이 부족하다.
Ⅱ. N-세대 교회학교 교사의 정신
1. N세대의 시대 정신 따라 잡기
1) N세대의 부정적인 면 : 개인주의, 물질주의, 쾌락주의, 파벌주의, 비도덕주의
2) N세대의 긍정적인 면 : 합리주의, 개방주의, 개성주의, 감성주의
3) 21세기의 정신 : 다양성과 창의성
2. N세대의 시대 정신 이끌기
1) N세대 교사는 가르치는 학생들의 부정적인 면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해→관심→사랑→재창조”
2) N세대 교회학교 교사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면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관계성↔개방성(대화적 관계성)↔개성화(독립성)↔통합성↔창의성↔책임성
3. N세대의 시대 정신 창조하기 : 교회학교 교사의 은사
1) 주일을 넘어서는 진정한 관심과 사랑으로 돌본다(요 13:34).
2) ‘가르치는 일’을 넘어서서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일’로 인도한다
(엡 4:11-16).
3) N세대의 시대 정신으로 세상을 변화시킨다. 예수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의 삶을 함께 살도록 도와준다(마 28:19-20).
Ⅲ. N세대 교사의 정체성
“우리 중 새로 교사가 된 이들은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 우리 가운데 또 다른 사람들은 5년, 10년 심지어 20년 이상을 가르쳐왔다. 우리는 교실에서, 교회에서 그리고 가정에서 가르친다. 우리는 공동체가 모이는 장소에서, 라디오를 통해 또는 TV와 인터넷을 통해 가르친다. 일요일에 가르칠 수 있고 다른 날에 혹은 저녁에 가르칠 수도 있다. 30분을 가르칠 수도 있고 2시간 또는 온종일 가르칠 수도 있다.
우리가 가르치는 장소와 교수법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지만 적어도 세 가지는 공통적으로 소유하고 있다. 첫째, 우리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창조적이고 화해적인 모임에 속한다. 둘째, 모두가 제자가 되도록 가르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을 공유한다. 셋째, 우리는 자원하는 사람들이다. 달리 말해, 우리는 가르치는데 대한 대가를 받는 것이 아니고 어떤 면에서 우리가 교사가 되는 결정에 참여한 것이다.“
A. 신앙공동체를 역동적으로 재창조하는 하나님의 사람들
1. 하나님의 나라를 오늘의 역사 속에서 실현하는 하나님의 사람들
- 교회교육의 주체자로서의 교회학교 교사
2. 제자들의 거룩성과 세속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키는 하나님의 사람들
- 학습자 중심의 교육 실현
3.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성경적 세계관을 실현하는 하나님의 사람들
- 교육 내용의 다양화를 통한 교회교육 경쟁력의 강화
- Bible Persons
4. 세상의 악함에 대항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사람들
- 교회교육의 장을 세계로 확대,
- 교육 목표의 확대
5. 사회 통합적인 미래 성결인을 양성하는 하나님의 사람들
- 교육 기회의 확대
- 전문적인 교육의 제공
- 열린 교육의 실현
B. 가상공동체의 거룩성을 추구하는 하나님의 사람들
1. 신앙공동체와 가상공동체의 통합을 이루는 하나님의 사람들
- 가상 공동체를 극복하는 신앙공동체의 형성
- 교육 환경의 체계적인 준비
2. 가상공동체에서의 영성과 전문성을 추구하는 하나님의 사람들
- 교육 방법의 전문화
- 교회 네트워크의 형성
3. 신앙공동체의 생존과 지속을 위한 비전을 세우는 하나님의 사람들
- 지속적인 교육전략의 수정과 수립
- 새로운 사건과 환경이 도전과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
Ⅳ. N세대 교사의 사명
A. 신앙공동체를 돌보고 섬기는 사명
1. 여러 세대들을 결속시켜야 한다
- 믿음의 역사 속에서 성경의 사건을 재현함으로 성경 시대와 오늘을 연결
- 교사와 학습자로 형성된 신앙공동체의 상상력을 통하여 근본적인 믿음의 사건을 재창조
2.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이웃을 섬기는 신앙공동체의 확립
- 교육 사역은 창조하시고, 부르시고, 보내시는 하나님께 충성하는 것에 관심
-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은 이웃을 사랑하고 섬기는 일
- 신앙공동체의 구성원이 쓸모 있는 존재가 되도록 교육
3. 성실한 제자로서의 생활과 책임 있는 삶을 살도록 인도
- 학습자로 하여금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중요성을 깨닫도록 도와 줌
- 삶의 의미를 찾고 행동에 옮길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격려
B. 현실과 가상 공동체에서 돌봄의 환경을 창조하는 사명
- 역사상 중요한 기독교공동체의 비전과 가치를 전해주려는 우리의 노력을 지지해 주고
강화시켜 줄 환경의 창조
1. 하나님의 돌보심을 가시화 시켜야 한다.
- 가르치는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돌보심을 보여주는 것 : 잘 준비된 교육환경
- 가르치고 배우는 상호 작용 속에서, 주인으로서 섬기는 일을 담당하는 교사
- 가상 공간의 주인도 하나님 : 잘 준비된 사이버 교육 환경
2. 돌봄의 공동체를 창조해야 한다.
- 우리가 가르치는 사람들을 편하게 해주어야 한다.
- 학습자들의 관심과 능력을 존중하는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학생들의 다양한 흥미와 욕구가 반영된 사이버 공동체를 구성해야 한다.
3. 돌보는 자가 되어야 한다.
- 예수님은 우리의 담임 선생님 : 예수님은 포도나무 우리는 가지
- 학습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필요에 민감해야 한다. (마 25장)
- 교사는 학생들의 사이버 상담자가 되어야 한다.
C. 미래를 위해 성숙한 공동체를 창조하는 사명
1. N세대 이해 (학생과 교사) : 누구를 가르치는가?
- 학생에 대한 분명한 이해는 교육 경험의 내용과 질에 가장 분명한 영향력을 미친다.
- 학급 구성원의 인격, 가족이지지 정도, 흥미, 능력 등은 교수-학습 상황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
- 학생의 차이는 그룹이나 학급마다 분명하며, 학생들은 개성, 흥미, 요구, 능력의
다양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다양성을 가르침을 준비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2. N세대 이끌기 (목표) : 왜 가르치는가?
- 목표는 우리가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한 방향을 확립시켜 준다.
- 목표는 우리가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교회가 가치를 두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한다.
- 목표는 우리의 가르침을 학생들의 흥미, 관심, 요구와 연관짓는 것이다.
- 목표는 우리가 갖게 될 교육적 경험의 종류를 드러내준다.
3. N세대 정신 창조하기 (내용) : 무엇을 가르치는가?
- 우리가 가르치는 내용은 우리가 물려받은 유산과 일치해야 한다.
- 우리가 가르치는 내용은 배우는 이들의 당면 문제와 환경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
- 우리가 가르치는 내용은 배우는 이들로 하여금 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4. N세대 가치와 문화 공유하기 (방법) : 어떻게 가르치는가?
- 학생들이 주제, 문제, 과거의 의미와 함축된 뜻을 시험해 보고 탐구해 보고, 평가해
볼 수 있는 방법
- 학생과 그들의 물음이 갖는 주제 사이의 대화가 있는 방법
- 학생들의 요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
'기독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하는 교회 안의 청소년들 (0) | 2009.03.28 |
---|---|
학생회 소그룹 성경교육의 실제 - 교회교육연구소 (0) | 2009.03.28 |
새친구 관리 및 양육법(김태성 전도사) (0) | 2009.03.28 |
[자료] 성경인물 색칠하기 (0) | 2009.03.28 |
[자료] 유아 유치부의 신앙 훈련 (0) | 200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