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회 소그룹 성경교육의 실제 - 교회교육연구소
…………………………………………
1. 추구해야 할 목적
1) 지적인 목적 : 성경지식을 통달시키기 위해 조직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도록 인도.
2) 격려적인 목적 : 학생들이 일반적인 기독교의 이상과 태도를 연구하고 받아들이도록
인도하는 것
3) 행동반응의 목적 : 학생들이 일반적인 기독교의 이상과 태도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내도록 인도하는 것
※ 어느 하나의 목적만으로도 충분하다. but, 셋을 종합 or 연결
2. 결과를 강조하는 교육
1) 성경지식 분야에서 - 지적인 목적
2) 그리스도의 생활분야에서 - 격려 and. 행동반응의 목적
- 교육이 교실에서 사장되지 않도록
※ important thing : 변화의 체험
① 개인이 새로운 성질을 받는 것
② 개인이 새로운 생활방향으로 들어가는 것
③ 변화의 체험을 통해 자신이 사용했던 것 이상의 힘이 나타나야 한다.
3. 교수-학습 과정의 이해(특성개발, 교사, 학생, 관심, 공과)
목적을 잘 이룰 수 있는 것 선택, 전통적인 방법과 창조적인 방법을 함께 사용
가능한 그 공간, 상황, 주제를 연결 시켜야 한다.(전통??창조)
1) 특성개발
① 전통 - 성경지식 가르침
② 창조 - 그리스도인의 체험을 택하게 하거나 하도록 인도함
2) 교사
① 전통 - 교사는 지혜의 근본(학생 수동적)
② 창조 - 교사는 안내자(학생 능동적)
3) 학생
① 전통 - 교사의 가르침을 듣고 기억(학습에 별 가치가 없다)
② 창조 - 학습에 능동적 참여(교사-안내자)
4) 관심
① 전통 - 보상이나 상이 약속되어야 확보
② 창조 - 학습활동 그 자체에 내포
5) 공과
① 전통 - 공과 책에 인쇄된 것. 교사 완전소화, 제시된 것 모두 가르침
② 창조 - 시간 중에 교사에게 공과의 목적 or 목표를 생각나게 하는 것
(참고 자료 사용. 목적에 달성될 자료만 사용)
6) 사람의 위치
① 전통 - 교사 서고, 학생 앉고
② 창조 - 둥글게
4. 학습의 원리
1) 단계
암기 - 인식 - 반복 - 접촉 - 실현
2) 오해들
① 말한다고 반듯이 가르치는 것이 아니며 듣는다고 반드시 배우는 것 아니다.
② 외우는 것이 반드시 배우는 것 아니다.
③ 기억하는 것이 반드시 배우는 것 아니다
3) 원리
① 흥미에 근거한다(내가 어떻게 관심을 불러일으킬까?)
② 필요에 근거한다 - 일상생활에서 필요를 느끼면 배운다.
※ 친교 ?? 문제해결 ??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공과 유도
③ 학습은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정신적인, 감정(정서)적인, 육체적인 반응이 일어나도록)
④ 우리는 확신을 통해서 배운다(회심의 체험)
(생활의 관심, 관찰 and 교사의 모범)
5. 교사의 필수요건
1) 학생들에 대한 태도 - 하나의 인격으로 중요시, 관심
인격적인 관계수립(가정심방, 사적인 모임, 우연한 접촉등)
2) 자료에 대한 태도 - 가르침은 반드시 교사의 경험에서 생생하게 살아 있어야 한다.
(모든 생활의 경험이 교육과 연결)
3) 가르침에 대한 태도 - 자기분야에 숙달되도록 노력
학생들의 생각과 체험을 알아보거나 관찰한다.
4) 훌륭한 인격을 소유해야 한다.
5) 성경을 연구하는 그리고 학생을 연구하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
※ 정보를 항상 축척하고 사용하는 교사여야 한다.
1) 종류 : 일반적인 정보(이름, 주소...) 가정생활, 교우관계.
기질과 성격, 오락과 취미, 특별활동 및 능력, 종교생활
2) 정보를 얻는 방법
a. 각 연령층에 대한 서적을 공부
b. 물음에 대답할 수 있는 적절한 질문 사용
c. 학생들과 함께 가정심방
d. 부모와의 특별협의 상담
e. 관찰을 통해서
3) 보관 - file 노트 or 교사수첩
6. 구체적인 목표설정의 방법
1) 교안작성의 원리
① 목표는 어떻게 진술할까?
② 동기유발을 어떻게 촉진시킬 수 있을까?
③ 어떻게 공과를 전개할 까?
④ 이 영적 진리를 어떻게 학생들의 개개인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을까?
⑤ 배운 것으로 어떻게 계속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2) 목표 설정 방법
(가) 목표의 정의 : 'Paul H. Vieth' - 목표이란 주어진 과정에서 원했던 성과로서 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결과에 대한 진술이다. 즉, 교사가 성취하려는 기대에 대한 진술
(나) 목표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
① 공과
② 생활 - 직면문제 / 해결 할 문제
③ 자기 반 학생
(다) 좋은 목표의 특성
① 기억할 수 있을 만큼 간결해야 한다.
② 기록할 수 있는 만큼 명확해야 한다.
③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것이어야 한다.
지적인 목적 - 말하게 한다
격려적, 행동반응 - 교사가 공과를 가르칠 때 목적이 분명히 공과내용에 나타나서 학생들이 그 목적을 잘 알 수 있도록 인도.
(라) 목표설정의 기초
① 교사중심의 목표 -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 정신적으로 참여
② 학생중심의 목표 - 학습을 유도할 다양한 방법을 제공함으로 정신적,신체적으로 참여 ("할 수 있다"로 서술해 봅시다)
(마) 구체적인 목표설정의 예와 연습
① 지적인 목표 - 십계명은 사랑의 계명임을 말할 수 있다.
② 격려적인 목표 - 자신의 우상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③ 행동반응의 목표 -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을 더욱 더 사랑할 것을 다짐한다.
(바) 목표 성취를 위한 교수방법
(1) 지식습득 방법
① 지적인 목표 성취방법
② 태도와 행동에 대해 성경이 말하는 바를 학생들에게 전달
③ 이야기??1인극??강의??조사??실습??현장답사
(2) 태도형성 방법
① 격려적인 목표성취방법
② 성경구절이 어떻게 그들에게 적용되는 가?
③ 사실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성경이 말하는 바에 대한 태도나 감정을 형성하는 방법
④ 토의, 문답법, 학생들의 참여활동
(3) 행동변화 방법
① 행동반응의 목표 성취방법
② 성경이 말하는 바에 따라 행동하여 그들의 행동을 바꿈
③ 역할극??연극??작문
④ 토의, 문답법, 학생들의 참여활동
3) 목표를 이루는 교안 작성의 4단계
(1) 동기유발(접근)
- 사고를 유발시키는 질문, 게임, 퍼즐, 참여활동 등
(2) 전개
- 토의, 보고서 작성, 줄거리의 극화, 시청각 활동 등
(3) 적용
- 실화, 전기, 역할극, 사진설명 등
(4) 반응(정리 및 평가)
- 요약(줄거리), 기도문, 일기문 작성, 다짐기도회 등
7. 교수-학습 지도(안)
효과적인 가르침은 가장 세심한 공과준비를 요구하고 있다.
1) 공과를 위한 준비
① 연구하는 일정한 시간을 가지라.
② 연구하는 일정한 장소를 가지라.
③ 충분한 자료사용 - 성경, 주석, 성서사전, 지도, 성구사전, 시청각 등
④ 열심 있는 준비와 목적에 맞는 이상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2) 포괄적인 교안
(1) 일반적인 준비
① 교사의 준비 - 마음과 정신면에서
㉠ 성경공부
㉡ 기 도
㉢ 명상 - 나의 생활(교사)에 어떤 뜻이 있나?
㉣ 내가 가르치려는 것이 무엇인가? (성경 구절을 깊이연구)
㉤ 나는 누구를 가르치는가? (반 학생에 대한 정보 획득)
목표
설정
① 단원목적은 ?
② 이번 공과 목표은 ?
ㄱ. 좋은목표 a. 간단하고 (기억) b. 분명하며 (기록)
c.구체적인 것(성취하기위해)
ㄴ. 올바른 종류의 선택
- 지적,격려적,행동반응의 목적
도입
③ '목적있는 성경공부'를 확보한다.
a. 관심의 포착(동기유발-질문,시청각(그림,글씨등))
b. 포착된 관심을 성경을 읽으려고 할려는 마음으로 유도
c. 읽은 성경이 목적있고 의의가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한다.
전개
④ '공과의 바른 진행'으로 학생들이 공과의 목표을 받아들이고 따르게 함.
a. 제시된 자료중 사용, 삭제 혹은 보충할 것은?
b. 자료의 올바른 배열로 학생들의 흥미와 필요를 조화시킨다.
c. 바른 질문을 한다.
d. 학생 스스로 문제를 제출하여 해결하게 한다.
⑤ 공과를 자신(교사 or 학생)의 것으로 만든다.
a. 진리가 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느끼도록 인도
b. 진리가 그들의 생활에 적용될 때 어떠한 상황인가를 깨닫도록 한다
c. 이것을 옳고 또한 실천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확신)
결론
⑥ 배운 것의 실천을 확보하는 것
a. 배운 것이 교실에서 사장되지 않도록 항상 지도.
- 결론을 서두르지 않고 학생이 내리게 끔 유도
|- 학생스스로의 실천방법 제시 유도
b. 실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학생, 교사함께)
c. 계속적인 실천의 장점
과제
⑦ 다음 주일의 공과공부에 흥미를 자극시킨다.
'기독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등부 문제점과 부흥방안 (0) | 2009.03.28 |
---|---|
아파하는 교회 안의 청소년들 (0) | 2009.03.28 |
N세대 교회학교 교사의 정체성과 사명 (0) | 2009.03.28 |
새친구 관리 및 양육법(김태성 전도사) (0) | 2009.03.28 |
[자료] 성경인물 색칠하기 (0) | 200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