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자료모음

청소년 3명중 1명이 인터넷 중독

예성 예준 아빠 2010. 6. 3. 09:42

청소년 3명 중 1명은 인터넷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등 인터넷 중독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부와 정보문화진흥원이 29일 부산 시청에서 연 ‘인터넷 중독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모색’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중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가족과 학교, 정부의 관심과 함께 전문 상담 기관·인력 육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주말 사용 5시간이면 중독 위험”
=정보문화진흥원이 최근 청소년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4년 인터넷이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29.3%가 “인터넷 사용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주말에 인터넷을 오래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말 평균 사용시간이 일반사용자의 경우 3시간인 데 비해 인터넷 중독자들은 5시간에 달했다.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늘, 혹은 간혹 수면이 부족하다’고 호소한 사용자가
전체의 30.6%였다.

이날 세미나에서 부산 동아고 김홍도 교사는 “최근 학생들이 아침 첫수업부터 조는 경우
가 늘고 있다”면서 “게임이나 채팅, 음란사이트 등을 끊지 못하는 학생들이 한반 35명
중 3~5명 정도는 된다”고 전했다.

진흥원의 오원이 역기능예방센터장은 “약물중독과 마찬가지로 내성과 금단현상이 일어나
불안·초조·강박행동은 물론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터넷 중독을 예방·치료하려면=부산교육문화센터 박정숙 대표는 “강압적인 방법으로
컴퓨터를 없애거나 감시하면 오히려 아이로 하여금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부모가 없는 PC방
이나,



친구 집 등에서 하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급하게 서두르
기보다 대화를 통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도록 끈기와 시간을 갖고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
다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인터넷에 왜 몰두하는지 원인을 알아야 한다.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적거
나 대화가 부족한 경우 가상공간에서 자신을 위로해주고 욕구를 충족시켜줄 대상을 찾는
것일 수도 있다.



가정에서 노력을 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전문기관에 상담을 의뢰
하거나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한다.

〈권석천기자〉 [경향신문 2005-03-29 17:56:45] 청소년 3명중 1명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 3명 중 1명은 인터넷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등 인터넷 중독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부와 정보문화진흥원이 29일 부산시
청에서 연 ‘인터넷 중독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모색’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중독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선 가족과 학교, 정부의 관심과 함께 전문 상담 기관·인력 육성이 시급
하다”고 지적했다.

◇“주말 사용 5시간이면 중독 위험”

=정보문화진흥원이 최근 청소년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4년 인터넷이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29.3%가 “인터넷 사용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주말에 인터넷을 오래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말 평균 사용시간이 일반사용자의 경우 3시간인 데 비해 인터넷 중독자들은
5시간에 달했다.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늘, 혹은 간혹 수면이 부족하다’고 호소한 사용자가
전체의 30.6%였다.

이날 세미나에서 부산 동아고 김홍도 교사는 “최근 학생들이 아침 첫수업부터 조는 경우
가 늘고 있다”면서 “게임이나 채팅, 음란사이트 등을 끊지 못하는 학생들이 한반 35명
중 3~5명 정도는 된다”고 전했다.

진흥원의 오원이 역기능예방센터장은 “약물중독과 마찬가지로 내성과 금단현상이 일어나
불안·초조·강박행동은 물론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터넷 중독을 예방·치료하려면=부산교육문화센터 박정숙 대표는 “강압적인 방법으로
컴퓨터를 없애거나 감시하면 오히려 아이로 하여금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부모가 없는 PC방
이나 친구 집 등에서 하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급하게 서두르
기보다 대화를 통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도록 끈기와 시간을 갖고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
다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인터넷에 왜 몰두하는지 원인을 알아야 한다.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적거
나 대화가 부족한 경우 가상공간에서 자신을 위로해주고 욕구를 충족시켜줄 대상을 찾는
것일 수도 있다. 가정에서 노력을 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전문기관에 상담을 의뢰
하거나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