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거대 빙하 붕괴 임박
![](http://photo.hankooki.com/webdownphoto/afpnews/2008/08/22/ENV_20080822_2026359_2.jpg) [워싱턴=AFP] 지구온난화가 이제 그린란드의 거대 빙하까지 위협하고 있다. 특히 그린란드의 빙하 중 하나인 페테르만 빙하(Petermann Glacier)에 상당한 균열이 생겨 붕괴가 임박했다고 과학자들은 전했다. 이미 지난달에는 그린란드의 두 거대 빙하가 상당 부분 붕괴됐다.
오하이오 주립대의 버드 남극연구센터 빙하학자들이 美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위성사진을 매일 분석한 결과 그린란드의 빙하가 지속적으로 녹아내리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으뜸 백도라지
![](http://news.joins.com/component/htmlphoto_mmdata/200808/htm_2008082711062230003010-001.JPG)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이 새로 개발한 으뜸 백도라지. 으뜸 백도라지는 재래종 백도라지에 비해 노지에서 재배할 경우 수확량이 29% 많고, 하우스재배에서는 44% 많다. 또 3년의 재배기간이 소요되는 기존 재래종도라지에 비해 신품종 백도라지를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면 1∼2년만에 수확 할 수 있어 수입 도라지와의 경쟁력도 높다.(사진=충북도농업기술원 제공)
호주에서 시화호까지 온 도요새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0808/27/2008082701141_3.jpg)
경기도 안산시 시화호 갯벌에서 먹이활동을 하던 도요새들이 힘찬 비상(飛上)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0808/27/2008082701141_1.jpg)
지난 1980년부터 호주에서 도요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링을 끼워 날려보낸 도요새(붉은선 안)가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시화호 일대에서 발견됐다. /연합뉴스
가을을 준비하는 곤충들
![](http://www.imaeil.com/news_img/photo/20080815_093613000.jpg)
입추가 지나면서 14일 오후 대구수목원에는 나비 등 각종 곤충들이 분주히 움직이며 가을을 준비하고 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제비나비, 꿀을 따는 박가시, 구애하는 호랑나비, 꿀벌, 휴식하는 고추잠자리, 이채근기자
남태평양서 데이트 즐기는 혹등고래
![](http://news.joins.com/component/htmlphoto_mmdata/200808/htm_2008081902200030003010-001.JPG)
매년 여름 번식을 위해 남태평양을 찾아 오는 혹등고래가 중앙일보 특별취재팀의 카메라에 잡혔다. 8월 15일 남태평양 통가왕국(The Kingdom of Tonga)의 바바우(Vava’u) 섬 앞바다에서 혹등고래 암수 한 쌍이 물속에서 데이트를 즐기고 있다. 배 부분에 있는 검은 무늬 때문에 ‘배트맨’으로 불리는 이 고래는 길이가 11~16m, 몸무게가 무려 30~40t에 이른다. 옆모습이 비대하고, 등이 구부러져 있으며 전체 몸길이의 3분의1 정도나 되는 긴 가슴지느러미가 특징이다. 평소에는 바다 수온이 낮은 차가운 고위도 지방에서 지내다가, 번식 기간에는 열대나 아열대 수역으로 회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혹등고래는 포유류 중에서도 이동을 많이 하는 편으로 연간 회유경로가 2만5000㎞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번식기에 짝을 부르는 혹등고래의 사랑 노래는 독특하고 다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늑대가 울부짖는 소리 같기도 하고,구슬픈 나팔소리 같기도 하다. 간혹 2시간여 동안 쉬지 않고 노래를 부르며 애타게 구애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한때 세계적으로 1500여 마리밖에 남지 않아 멸종위기에 처했던 혹등고래는 1996년 포획 금지조치가 내려진 뒤 2004~2006년 사이 1만8000~2만 마리 수준으로 개체 수가 회복됐다. 통가=장남원 보도사진 전문위원
백악기 한국 공룡은 어떻게 생겼을까 교육방송 ‘한반도의 공룡’ 등 대형 다큐 잇따라 선봬
![](http://img.hani.co.kr/imgdb/resize/2008/0821/6000077469_20080821.JPG)
교육방송이 9월 이후 대형 다큐멘터리들을 잇따라 선보인다. 교육방송은 오는 25일 가을 개편을 단행하고, 백악기 공룡의 모습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현한 <한반도의 공룡>(사진)을 비롯해 오랜 준비기간을 거친 다큐멘터리들을 집중 편성하기로 했다. 교육방송 박상호 편성센터장은 20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자체 제작 다큐멘터리를 평일 밤 10시대에 방영한 결과, 이 시간대 시청률이 무려 78%나 상승했다”며 “교육방송 다큐멘터리에 대한 시청자들의 기대가 큰 만큼 올 하반기에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대형 다큐멘터리 쪽에 힘을 쏟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가장 눈에 띄는 프로그램은 1억6500만년 전 한반도 남부지방에 발자국을 남기고 사라진 공룡의 자취를 추적하는 <한반도의 공룡>이다. 부경고사우르스, 해남이크누스 등 한국학명을 가진 토착 공룡과 최신 화석 발굴 현황, 국내 공룡 연구 성과 등이 최초로 공개된다. 특히 실제 촬영한 뉴질랜드의 원시자연과 첨단 컴퓨터 그래픽을 결합해 공룡이 지배하던 백악기 한반도의 모습을 재현할 예정이어서 관심을 끈다. 김유열 편성기획팀장은 “공룡이 알에서 깨어나 성장하는 과정, 천적과의 결투, 대륙을 횡단하는 거대한 공룡 무리 등 풍부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하는 90분짜리 다큐멘터리 영화”라며 “100% 국내 기술력으로 매일 15초 분량씩 만들고 있어 오는 12월쯤 방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죽은 늑대 체세포 이용한 복제늑대
![](http://news.joins.com/component/htmlphoto_mmdata/200808/htm_2008082217110370007300-001.JPG)
세계 최초로 죽은 늑대의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된 늑대 2마리가 22일 충북 청주동물원에 둥지를 틀었다. 지난 19일 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과 동물연구 교류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청주시는 이날 서울대학교가 세계 최초로 죽은 늑대의 체세포를 이용해 생산한 복제늑대 2마리【청주=뉴시스】
복제개 '스너피와 여자친구들' 2세 봤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0809/04/2008090401177_1.jpg)
세계 첫 복제 개 `스너피'와 다른 복제 암캐들 사이에서 최근 10마리의 새끼가 태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개 복제도 드문 일이지만 복제 개가 다른 복제 개들과 인공수정을 통해 2세를 자연분만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4일 서울대수의대 이병천 교수팀에 따르면 이 교수팀은 지난 3월 스너피의 정액을 복제된 암캐 '보나' 및 '호프'의 난자와 인공수정하는 방식으로 5월에 보나로부터 4마리, 호프로부터 6마리의 새끼를 분만하는데 성공했다. 사진은 스너피 2세. /연합뉴스
일제시대 사라질뻔한 '칡소', '흑우'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0808/14/2008081400547_1.jpg)
일제 강점기 일본의 강압적 개량으로 사라질뻔한 우리 재래 한우인 '칡소'(왼쪽)와 '흑우'.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은 전국에 300마리만 남은 이들 한우의 정액을 보존하고 수정란 이식기술을 통해 개체수를 늘릴 계획이다. /축산과학원 제공
세계최초 '참고래 장례식' 촬영 성공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0809/10/2008091001155_1.jpg)
동해에서 숨지기 직전의 참돌고래 한마리를 다른 참돌고래들이 수면위로 올리는 장면.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지난 6월 27일 시험조사선을 타고 울산-포항 해역을 조사하던 중 감포 정자 앞바다에서 이 장면을 발견, 촬영했다. /수산과학원 제공
堂狗風月
![](http://www.kukinews.com/photogallery/data160/2008/09/11/opi_20080911_18_1.jpg)
안경 쓰고 휴대전화로 음악을 듣는 개. 인간답지 못한 인간의 서글픈 자화상을 보여주는 거울이다. 해학적 전통 민화와 서구 팝아트의 결합. 10년간 개만을 그려온 곽수연 작. 개 가라사대…
손가락에 올라온 가장 작은 원숭이
세상에 이렇게 작은 동물들이 있습니다. 정말 실제로 있는 동물들입니다. 보기만 해도 앙증맞지 않나요? 물론 모두 다 귀엽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