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관련

모르면 손해 알면 실력, PC 활용‘초강력 팁’- 2

예성 예준 아빠 2008. 5. 30. 22:57
모르면 손해 알면 실력, PC 활용‘초강력 팁’

 

◆인터넷에서 원본 크기대로 그림 감상하기
익스플로러 6 버전의 그림 크기 자동 조절기능을 꺼 이미지를 원본 크기로 감상한다.
익스플로러 6부터는 웹 브라우저 창 크기에 맞춰 인터넷에 링크된 그림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원본 크기대로 감상하려면 ‘도구→인터넷 옵션’ 메뉴를 클릭한 뒤 ‘고급’탭의 ‘멀티미디어’ 항목으로 들어가 ‘이미지 크기 자동 조정 기능’ 옵션의 체크 표시를 지워야 한다.

◆찌글찌글해 보이는 이미지 계단 현상 막는 법
포토샵에서 작업한 이미지의 배경을 투명하게 바꾸면 생기는 계단 현상을 없앤다.
포토샵에서 웹에 올릴 이미지를 편집할 때에는 ‘Anti-Aliased’옵션을 꺼두어야 한다.
만약 이 옵션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그래픽작업을 하면 웹 브라우저에 이미지를 올렸을 때 계단 현상이 생겨 거칠게 보일 수 있다. 이 옵션은 ‘Windows→Show options’메뉴를 선택하면 뜨는 ‘Options’창에서 끄면 된다.

◆어학용 카세트 테이프를 WMA 파일로 바꾸기
제트오디오 프로그램을 이용해 카세트 테이프를 디지털 음악 파일(WMA)로 바꾼다.
3.5mm 스테레오 케이블을 PC 본체의 Line-in 단자와 카세트 플레이어의 이어폰 잭에 꽂아 연결한다. 이어 제트오디오를 실행시 켜 ‘Recoding’버튼을 누르고 ‘입력’ 항목에 ‘Line-in’을 체크한 뒤 녹음할 파일 이름과 저장 폴더를 정한다. 이후 ‘형식’을 ‘WMA’로 정하고 ‘재생’ 버튼을 누르면 된다.

◆명령 프롬프트 창도 영문 모드로 바뀌네!
한글로 실행되는 윈도 XP·2000의 명령 프롬프트 창을 영문 모드로 바꾼다.
윈도의 ‘시작→실행’메뉴를 클릭한 뒤 ‘cmd’를 입력하면 뜨는 명령 프롬프트 창은 보통 한글로 표시되는데, 이를 영문으로 바꾸려면 언어 코드 전환 명령인 ‘chcp’를 이용해야 한다. 요컨대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chcp437’을 입력하면 영문으로, ‘chcp 949’를 입력하면 한글로 바뀐다.

◆누가 날 삭제했는지 바로 알 수 있어!
MSN 메신저에서 상대방이 본인의 ID를 지웠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 MSN 메신저를 이용하다가 상대방이 본인의 ID를 삭제했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이 경우 MSN 메신저의 ‘도구→옵션’를 클릭하고 ‘프라이버시’탭을 선택한다.
2. 이어서 ‘나를 대화 목록에 추가한 사람’ 항목의 ‘보기’ 버튼을 눌러 상대방의 ID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다.

◆새로운 시작화면에 관리자 계정심기
관리자 계정을 사용할 기회가 많다면 새로운 시작 화면에 관리자 계정을 꺼내놓는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창을 띄운 다음 ‘HKEY_LOCAL_MACHINE→SOF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SpecialAccounts→UserList’로 이동하고 ‘편집→새로만들기→DWORD값’ 메뉴를 클릭한다.
2. 새로 생긴 DWORD 값의 이름을 ‘Administrator’로 바꾼다.
3. 새로 만든 값을 더블 클릭해 ‘값 데이터’를 ‘1’로 정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4. 윈도를 재시작하면 새로운 시작 화면에 ‘Administrator’계정이 추가되어 나온다. 원 상태로 복구하려면 추가한 ‘Adminitrator’키를 지운다.

◆‘□□□’로 표시되는 동영상 자막 고치기
동영상의 자막 글꼴과 PC에 설치된 글꼴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한다.
가장 간단하게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아드레날린’과 같은 동영상 재생프로그램 등에는 자막 설정 변경 메뉴를 갖고 있기 때문인데, 여기에서 PC에 설치된 ‘굴림체’, ‘돋움체’등의 글꼴을 선택하면 된다. 단, ‘@굴림’처럼 ‘@’로 표시된 글꼴을 선택하면 자막의 글자들이 가로로 누워버리므로 주의하자.

◆윈도 바탕 화면 깔끔하게 정리하기
바탕 화면에 깔려있는 쓸데없는 아이콘을 정리해 쾌적한 PC 작업 환경을 만든다.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속성’메뉴를 선택한 뒤 ‘바탕 화면’탭의 ‘바탕 화면 사용자 지정→바탕 화면 정리 시작’ 버튼을 누른다. 곧장 바로 가기 아이콘 목록이 나오는데 정리하고 싶은 아이콘들을 체크하고 ‘다음’버튼을 누른다.

◆웹페이지 문서 현명하게 저장하는 법
웹 페이지를 저장할 때 보통은 이미지 폴더와 웹 문서가 따로 생기지만, 웹 문서와 이미지를 한 파일로 합쳐 저장할 수도 있다.
웹 문서를 하나의 파일에 모아 저장할 때에는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 메뉴를 선택한
다. 이어 ‘웹 페이지 저장’창이 뜨면 ‘파일 형식’을 ‘웹 페이지 보관 파일(*.mht)’로 정해 저장한다. 또한 웹 페이지에 뜨는 이미지나 링크가 걸린 URL을 저장할 때에는 해당 요소를 마우스로 선택해 바탕 화면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윈도9x에서 원격데스크톱 사용하기
윈도 95·98·Me·2000에서 윈도 XP의 원격 데스크톱 기능을 사용한다.
윈도 계열의 운영체제라면 윈도 XP의 원격 데스크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윈도 XP 정품 CD를 CD-ROM 드라이브에 넣고 ‘Windows XP 시작’창을 띄운 다음 메뉴에서 ‘추가 작업 수행 목록’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설정’항목을 선택해 파일을 복사하면 된다.

◆워드문서의 문단을 제어하는 단축키
MS 워드는 문단 외쪽에 0.5인치 정도의 여백을 주거나 첫 줄 들여쓰기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단축키를 지원한다.

문단에 0.5인치 왼쪽여백주기
문단 첫 줄 들여쓰기
문단 내어쓰기
문단 관련 서식 지우기

◆작업 표시줄에서 재빨리 프로그램 실행하기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도구 모음→주소’ 메뉴를 선택해 주소 입력창을 띄운 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윈도프로그램을 연다.

calc 계산기 실행하기
excel MS 엑셀 프로그램 실행하기
winword MS워드프로그램실행하기
mspaint 그림판 실행하기
fsmgmt.msc 공유 폴더 열기

◆바탕 화면 아이콘 설명을 투명하게!
바탕 화면 아이콘 설명의 배색을 투명하게 설정해 배경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1. ‘내 컴퓨터’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속성’메뉴를 클릭한다.
2. ‘시스템 등록 정보’창의 ‘고급’탭으로 이동해 ‘성능’항목의 ‘설정’버튼을 누른다.
3. ‘시각 효과’탭의 ‘사용자 지정’항목에서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옵션을 체크하고 ‘적용’버튼을 누른다.

◆응급 상황에 대비해 레지스트리 백업하기
윈도 XP의 백업 유틸리티를 이용해 현재 레지스트리 파일을 백업해 둔다.
1. 윈도의‘시작→모든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시스템 도구→백업’을 클릭한다.
2. ‘백업 마법사’창에서 ‘시스템 상태 데이터만 백업’ 옵션을 선택하고 ‘다음’버튼을 누른 뒤 백업 파일 이름과 경로를 정한다.
3.백업 과정이 끝나면 ARS란 확장자로 된 레지스트리 백업 파일이 생긴다.

◆백업해 둔 레지스트리 정보 복원하기
레지스트리 문제가 발생한 경우 레지스트리 백업 파일을 사용해 시스템을 복원한다.
1. 윈도의 ‘시작→모든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시스템 도구→시스템 복원’메뉴를 차
례로 클릭한다.
2. ‘복원 마법사’창에서 레지스트리 백업 파일의 경로를 선택한 뒤 백업 파일 앞의 ‘+’를 눌러 ‘System state’에 체크 표시를 한다. ‘다음’ 버튼을 눌러 복원 작업을 진행한다.

◆MSN 메신저에서 상대방 계산기 빌려쓰기
MSN 메신저를 사용한다면 대화 상대 PC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두 사람 모두 윈도 XP를 사용하고 있고 MSN 메신저에 로그인한 상태라면 상대방 PC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공유해 사용할 수 있다. 가령 본인 PC에 워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대화’창의 ‘동작→응용 프로그램 공유 시작’메뉴를 눌러 공유해 쓰고 싶은 워드 프로그램을 고르면 된다.

◆파워포인트의 채우기 색 미리 편집하기
파워포인트 문서를 작성하기 전 미리 색 구성을 편집해 놓으면 작업이 수월해진다.
파워포인트에서 색 구성을 편집하려면 ‘서식 슬라이드 디자인’을 선택한 뒤 ‘슬라이드 디자인’작업 창에서 ‘색 구성표→색 구성표 편집’을 차례로 클릭한다. ‘색 구성표 편집’ 창이 뜨면 ‘사용자 지정’ 탭의 ‘구성표 색’ 목록에서 색을 바꿀 구성 요소를 선택하고 색 구성을 편집해 ‘적용’버튼을 누른다.

◆MS 워드에 한글서식 스타일 가져오기
글에서 만들어 둔 서식 스타일을 MS 워드로 불러들여 사용할 수 있다.
MS 워드에서 서식 스타일을 정의한 글 문서를 연다. ‘파일→열기’메뉴를 클릭해 ‘아래아 한글 2.0-97’형식으로 불러오면 된다.
이어 ‘서식→스타일 및 서식’메뉴를 클릭하고 복사할 서식이 적용된 단락에 커서를 올려 놓은 뒤 ‘새 스타일’버튼을 누른다. 이후 스타일 이름을 정하고 ‘서식 파일에 추가’ 항목에 체크 표시를 하면 작업이 끝난다.

◆포토샵 작업 결과물을 이전 단계로 돌리기
 
 
포토샵 ‘History’ 팔레트에서는 이전 작업 단계로 돌아갈 수 있는 스냅샷이 지원된다.
포토샵으로 작업할 때에는 중간 작업이 끝날 때마다 ‘History’팔레트의 ‘Create New Snapshot’ 아이콘을 눌러 스탭샷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이전 작업 단계로 되돌리기가 편하다.

◆윈도 탐색기를 열 땐 키를 누르자!
메뉴 대신 단축키를 이용해 윈도 탐색기를 실행시킨다.
윈도 탐색기를 실행할 때 ‘시작→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Window 탐색기’ 메뉴를 선택하면 되지만, 더 빨리 윈도 탐색기를 열려면 키를 누른 채 ‘내 컴퓨터’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면 된다.

◆멋진 웹페이지 그림을 바탕화면으로!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발견한 이미지를 바탕 화면 배경 이미지로 등록한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다가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발견하게 되면 익스플로러에서 해당 이미지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뒤 ‘배경으로 저장’메뉴를 선택한다. 익스플로러를 최소화하면 바탕 화면에 이미지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영상에서 음악 파일만 쏙 뽑아내기
버추얼덥 프로그램을 이용해 동영상에서 흘러나오는 주제곡만 뽑아 따로 저장한다.
1. 버추얼덥을 실행시킨 뒤 ‘파일→비디오 파일 열기’메뉴로 동영상을 실행한다.
2. 추출할 음악이 시작되는 장면에 슬라이더를 옮겨 ‘Mark in’버튼을 누르고 음악이 끝나는 장면에 슬라이더를 옮겨 ‘Mark Out’ 버튼을 누른다.
3. ‘파일→wav 저장하기’메뉴를 클릭해 음악 정보를 WAV 파일로 저장한다.

◆내가 꾸민 바탕화면 테마로 저장하기
사용자 임의로 바탕 화면 인터페이스를 최적화시킨 뒤 테마 파일로 저장해 둔다.
1.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바탕 화면의 보기 옵션을 바꾼다.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창을 띄운 뒤 ‘테마’탭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버튼을 누른다.
2. ‘내 문서’폴더에 수정한 바탕 화면 내용을 ‘*.theme’확장자로 된 테마파일로 저장한다.

◆폴더 창 실행 속도 빠르게 조작하기
윈도의 폴더 옵션을 조작해 폴더 창의 실행 속도를 향상시킨다.
1. 윈도 탐색기의 ‘도구→폴더 옵션’메뉴를 클릭한다.
2. ‘폴더 옵션’ 창의 ‘보기’탭에서 ‘독립된 프로세서로 폴더 창 실행’, ‘암호화되거나 압축된 NTFS 파일을 컬러로 표시’, ‘폴더 및 바탕 화면 항목에 팝업 설명 표시’옵션의 체크를 해제한다.

◆뚱뚱한 파일은 알집에서 쪼개 압축하자
이메일에 첨부할 용량이 큰 파일은 1MB씩 분할 압축해 발송하면 좋다.
1. 알집 프로그램(www.estsoft.com)을 설치한 뒤 압축할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알집으로 압축하기’를 클릭한다.
2. ‘압축 파일 종류’를 ‘alz’, ‘분할 압축’에 ‘1MB’라고 적고 ‘압축’버튼을 누른다. alz, a00, a01… 확장자 파일이 생기는데, 압축을 풀 때에는 alz 확장자 파일을 더블 클릭한다.

◆MSN 메신저 대화 상대 목록도 백업하자
윈도를 재설치하기 전 MSN 메신저에 등록해 대화 상대 목록을 백업한다.
1. MSN 메신저의 대화 상대 목록을 백업할 때에는 ‘파일→대화상대목록저장’메뉴를 클릭한 뒤 확장자가 CTT인 파일로 저장하면 된다.
2. 윈도를 설치한 후에는 MSN 메신저의 ‘파일→대화 상대 목록 가져오기’메뉴를 클릭한 뒤 저장해 둔 CTT 파일을 선택한다.

◆실수로 휴지통에 버린 파일 되살리기
단축키를 이용해 실수로 휴지통에 보낸 파일을 곧장 복구한다.
파일이나 폴더를 지우기 위해 < Del > 키를 누르면 곧장 휴지통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실수로 휴지통에 버린 파일이라면 곧장 키를 눌러 원래 위치로 복구할 수 있다. 단, 키를 눌러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완전히 삭제해 버린 파일은 복구가 불가능하다.

◆엑셀에서 누적된 근무 시간 계산하기
엑셀은 시간을 24시간 단위로 표시하기 때문에 누적된 근무 시간을 구할 때에는 표시형식을 바꿔야 한다.
누적 시간을 구할 셀을 선택한 상태에서 ‘셀 서식’창을 띄우고 ‘표시 형식’ 탭에서 ‘사용자 지정’범주를 선택한다. 이어서 ‘형식’을 ‘[h]:mm’으로 정한다. 여기서 [h]는 누적 시간을 의미하는 서식 코드다. 이후 SUM 함수를 이용해 시간의 합을 구하면 그만이다.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 기능 꺼두기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 기능이나 프로그램의 자동 실행을 막아 윈도를 최적화시킨다.
우선 윈도의‘시작→실행’메뉴를 클릭해 ‘실행’창을 띄우고 ‘services.msc’을 입력해 ‘서비스’창을 띄운다. 그런 다음 자동 업데이트 기능처럼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능을 더블클릭해 ‘시작 유형’을‘수동’으로 바꾸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아래의 정지시켜 도 좋은 윈도 서비스 항목들을 수동 실행으로 바꾸면 윈도의 구동 속도가 한결 빨라질 것이다.

Automatic Updates 자동 업데이트 기능
Help and Support 도움말 및 지원 센터
Portable Media Serial Number 휴대용 음악
장치의 시리얼 넘버 검색 기능
Secondary Logon 다른 사람 계정 관리
SmartCardHelper 레거시스마트카드지원기능
Telnet TCP/IP 텔넷 클라이언트 기능

◆파워포인트에 삽입한 이미지가 너무 클 때
파워포인트 2002에서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해 이미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미지를 더블클릭해 ‘그림 서식’창을 띄우고 ‘그림’탭의‘압축’버튼을 누르면 ‘그림 압축’창이 뜬다. 여기서 ‘해상도 변경’을 ‘웹/화면’으로 체크하면 그림 크기가 작아진다.

◆복구 콘솔 이용해 시스템 오류 잡기 1
윈도 2000·XP CD에 담긴 복구 콘솔을 사용해 시스템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한다.
1. 윈도 XP 설치 CD를 CD-ROM 드라이브에 삽입하고 ‘시작→실행’을 클릭해 ‘drive:i386winnt32.exe/cmdcons’를 입력한다.
2. ‘예’버튼을 눌러 복구 콘솔을 설치한다.
3. 시스템을 재부팅한 뒤 ‘운영체제 선택’화면에서 복구 콘솔을 선택하고 복구할 드라이브의 번호와 계정 암호를 입력한다.

◆복구 콘솔 이용해 시스템 오류 잡기 2
부팅조차 안 되는 경우 윈도 XP CD의 복구 콘솔을 이용해 시스템 오류를 해결한다.
1. 설치 디스켓이나 윈도 XP CD로 부팅한 후 설치 화면에서 키를 누른다.
2.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복구할 드라이브 번호를 입력한 뒤 키를 누른다.
3. 복구 콘솔은 관리자 계정으로만 접근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 계정의 암호를 입력하고 키를 누른다.

◆웹문서 로딩속도를 빠르게, 더 빠르게∼
웹 문서의 로딩 속도를 지연시키는 대표적인 주범, 프린터 자동 검색 기능을 해제한다.
바탕 화면에 있는‘내 컴퓨터’를 열고‘도구→폴더 옵션’메뉴를 차례로 선택한다. 곧바로‘폴더 옵션’창이 뜨면‘보기’탭의‘고급 설정’항목에 있는‘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 검색’옵션을 찾아 체크 표시를 지운다. 이후 웹 문서 로딩 속도가 빨라진 것을 체감할 수 있다.

◆140GB 이상의 하드디스크 제대로 설치하기
윈도 XP에서 140GB 이상의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인식시켜 사용한다.
먼저 www.windowsupdate.com에 접속해 대용량 하드디스크의 48비트 LBA를 지원하는 윈도 XP 서비스팩1을 설치한다. 그래도 인식되지 않으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띄워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atapi→Parameters’로 이동하고 ‘편집→새로 만들기→DWORD 값’메뉴를 클릭해 ‘EnableBigLba’키를 만든 뒤 ‘값 데이터’는 ‘1’, 단위는 ‘16진수’로 정한다.

◆중요도 제로! CD의 자동 실행 기능 죽이기
윈도 XP에서 CD를 삽입하면 자동으로 뜨는 실행 창이 뜨지 않도록 설정한다.
CD-ROM 드라이브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속성’ 메뉴를 선택하고 ‘등록정보’창을 띄운다. 그리고 ‘자동 실행’탭에서 ‘아무 작업 안 함’을 선택하면 된다. 혹은 키를 누른 채 CD를 삽입해도 된다.

◆바탕화면에 애인사진 여러 장 붙여넣기
윈도 XP의 바탕 화면에 애인이나 아기 사진을 여러 장 붙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창의 ‘바탕 화면’ 탭에서 ‘바탕 화면 사용자 지정’ 버튼을 누른 뒤 ‘웹’탭의 ‘새로 만들기’버튼을 누른다. 여기서 바탕 화면 배경으로 사용할 이미 지들을 찾아 체크한 후 각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한다. 이후 ‘바탕 화면 항목’창에서 ‘바탕 화면 항목 잠금’ 옵션을 체크하면 된다.

◆동영상 재생 속도 쑥∼ 끌어올리는 법
동영상 파일 실행시 미리 보기가 작성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시스템을 최적화시킨다.
1. 윈도의‘시작→실행’메뉴를 클릭한다.
2. ‘실행’창이 뜨면‘regsvr32 /u C:Windowssystem32shmedia.dll’ 명령을 입력해 윈도탐색기에서 동영상 파일의 미리 보기가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단, 본인 PC의 루트 디렉터리가 ‘C:Windows’인지 ‘C:WinNT’인지를 확인해 정확하게 적는다.

◆셀 영역을 통째로 복사하는 그림 붙여넣기
엑셀에서 셀 영역을 그림 이미지로 복사해 붙여 넣을 수 있다.
그림으로 붙여 넣을 셀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한 뒤 ‘편집→복사’메뉴를 클릭한다. 그리고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을 셀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은 다음 키를 누른 상태에서 ‘편집→연결하여 그림 붙여넣기’메뉴를 클릭한다. 이 경우 원본 내용을 참조하는 형태로 셀 범위를 붙여넣을 수 있다.

◆뒤죽박죽인 광드라이브 순서 일렬로 정리하기
가상 드라이브를 설치한 이후 순서가 제멋대로 바뀐 광드라이브 이름을 정리한다.
1. 윈도의 ‘시작→실행’메뉴를 클릭하고 ‘diskmgmt.msc’ 명령을 입력한다.
2. ‘디스크 관리’창 아래 목록에서 순서를 바꿀 광드라이브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 변경’ 메뉴를 선택한다. 이어 ‘드라이브 문자 할당’에서 원하는 알파벳을 할당해 순서를 정리한다.

◆원치 않는 스파이웨어 일망 타진!
사용자 정보를 몰래 빼내는 스파이웨어를 AD-aware 프로그램으로 삭제한다.
1. 네이버 자료실(download.naver.com)에 접속한 뒤 ‘AD-aware’란 키워드를 입력해 ADaware 프로그램을 찾아 다운로드한다.
2.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왼쪽 메뉴에서 ‘scan now’을 선택하고 ‘Start’버튼을 누르면 윈도에 설치되어 있는 스파이웨어를 검색하기 시작한다.
3. 스파이웨어 목록이 표시되면 삭제할 스파이웨어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누른다. 이로써 PC에서 스파이웨어를 완전히 몰아낼 수 있다.

◆시스템 종료시간을 내맘대로 예약한다
파일 다운로드 후 시스템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윈도 XP의 종료 시간을 예약한다.
1. 윈도의 ‘시작→실행’메뉴를 클릭한다.
2. ‘실행’창에 ‘tsshutdn.exe 600’을 입력하고 키를 누른다. 여기서 ‘600’은 600초 뒤에 시스템을 종료하라는 의미로, 이 값은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3. 시스템 예약 종료 기능을 취소할 때에는 키를 누른다.

◆영화관에서처럼 동영상 자막 표시하기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인 아드레날린을 다운로드해 설치한 뒤 동영상의 자막 위치를 자유자재로 옮겨놓는다.

자막을 위로 옮긴다.
자막을 아래로 옮긴다.
자막을 왼쪽으로 옮긴다.
자막을 오른쪽으로 옮긴다.
자막을 기본위치로 옮긴다.

◆윈도의 일반계산기를 공학용 계산기로!
 
 
좌측  좌측  
 
윈도의 일반 계산기를 마우스 클릭 한 번으로 공학용 계산기로 바꾼다.
윈도 계산기를 실행한 다음 ‘보기→공학용’ 메뉴를 선택해 보자. 삼각 함수, Log 함수 등 복잡한 함수식을 계산할 수 있는 공학용 계산기로 둔갑할 것이다.

◆바탕화면 아이콘 간격을 최대한 좁히기
윈도 바탕 화면의 아이콘들 간격을 좁히면 바탕 화면을 훨씬 넓게 사용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창의 ‘화면 배색’탭에서 ‘고급’버튼을 누른다.
2. ‘고급 화면 배색’창의 ‘항목’에서 ‘아이콘간격(가로)’과 ‘아이콘 간격(세로)’의 값을 줄여 설정한다. 최대한 좁힐 수 있는 아이콘 간격은 가로 ‘24’, 세로 ‘27’로, 보통은 가로 ‘46’,세로 ‘43’으로 맞추는 것이 좋다.

◆익스플로러의 타이틀을 내 이름으로 바꾸기
익스플로러의 제목 바에 표시된 타이틀을 원하는 타이틀로 수정한다.
‘Microsoft Internet Explorer’란 타이틀을 수정하기 위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띄운 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오른쪽 창에서 ‘windows title’값을 찾고 없으면 ‘편집→새로 만들기→문자열’ 메뉴를 클릭해 ‘windows title’값을 만들고 더블클릭해 원하는 타이틀 이름을 적어넣는다.

◆5.1채널에 최적화된 서라운드 환경에서 DVD 타이틀 감상
DVD 타이틀이 5.1채널을 지원해도 실제로 재생해 보면 2.1채널로 들릴 때가 많다. 이는 영화사들이 돌비 서라운드나 스테레오 최적화된 사운드 믹스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DVD 재생기에서 2.1채널을 기본 옵션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5.1채널을 감상하려면 DVD 메뉴에서‘Audio’를 5.1채널로 바꿔줘야 한다.

◆내 PC에 설치된 윈도 XP는 정품일까
사용 중인 윈도 XP가 정품인지 불법 복제된 것인지를 감별한다.
윈도 XP는 인터넷에 접속해야 정품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정품 운영체제를 사용하더라도 인증 과정을 밟지 않으면 30일밖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인 운영체제가 정품 인증을 받았는지 의심이 간다면 윈도의 ‘시작→실행’메뉴를 클릭하고 ‘oobe/msoobe /a’명령을 입력해 보자.

◆24시 주기의 시간을 더하거나 빼고 싶으면?
엑셀의 ‘TIMEVAL!UE’함수를 사용해 시간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처럼 연산한다.
숫자 데이터도 사칙연산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단, 시간을 24시간을 기준으로 한 연속값으로 환산하려면 ‘TIMEVAL!UE’함수를 이용해야 한다. 가령 A1 셀에 ‘18:00’이 입력되어 있고, 여기에 7시간을 더하고 싶으면 ‘=A1+TIMEVAL!UE( “7:00”)’이란 수식을 사용해야 ‘1:00’이란 결과가 나온다.

◆MSN 메신저의 서버 상태 점검하기
MSN 메신저의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해 본다.
MSN 메신저 서비스가 불통인 경우 인터넷접속 문제인지 아니면 서버 점검으로 인한 메신저의 문제인지 궁금할 때가 있다. 이 경우 MSN 메신저의 ‘도움말→서비스 정보’ 메뉴를 클릭해 보자. MSN 메신저의 문제라면 익스플로러가 실행되면서 메신저 서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가 열릴 것이다.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웹에 올리기
파워포인트에서 작성한 PPT 문서 파일을 웹에 올릴 수 있도록 변환한다.
파워포인트에서 작성한 문서는 이미지 파일이나 웹문서로 저장할 수 있다. 가령GIF 파일로 저장한다면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 메뉴를 누른 뒤 파일 형식을 ‘GIF’로 정해 저장하면 된다. 또 홈페이지에 슬라이드를 삽입하고 싶으면 ‘파일→웹 페이지로 저장’ 메뉴를 눌러 HTML 문서로 저장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