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파워전력에 대하여
1.개요
펜티엄4의 경우 전압을 낮추고 내부 구조에 저전력과 고온방지 메카니즘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빠른 동작속도와 부가기능들때문에 많은 전력을 소모합니다.(애슬론도 같습니다.)
그리고 agp포트를 이용하는 그래픽카드의 경우 막대한 량의 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굉장히 빠른 동작속도를 갖기유해서 많은 전력을 사용하죠..(agp pro의 경우 최소 60w이상을 사용합니다.)
즉, 굉장히 고전력을 사용하는 부품이 많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예전의 방식대로 파워를 선택하시는 분들이 많다는 겁니다.
그래서 주관적인 판단의 소지가 있는 메이커, 소음 등의 문제는 각자의 판단이나 밴치마크등에 맡기고 전압과 전류만을 비교해서 파워를 선택하는 방법을 하나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2.동작원리
파워는 +3.3v, +5v, +12v,...등 다양한 전압을 각각의 기기에 제공합니다.
파워는 예전에 도란스라 불리던 것이나 어뎁터와는 다른 방식으로 전압을 조정합니다.
컴퓨터는 전부 직류전원만 사용하는데 처음 파워에 들어오는 220v의 교류 고전압을 아주 빠른 속도로 끊었다 붙였다 하면서 전압을 낮춥니다. 쉽게 땜의 수문을 열었다 닫았다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때 다양한 잡음들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제거해 주고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게 만들어서 내보냅니다..비슷한 동작을 메인보드의 시피유 부근에서도 하는데..이부분의 전원페이즈라고 하며 메인보드의 안정성을 말할때 몇 페이즈(단계)인가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3.지피지기
그럼 각각의 전압의 용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대부분의 기기는 3가지 정도의 전압을 같이 사용하는데 시피유와 쿨러등의 펜은 +12v만을 램의 경우 +5v만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메인보드는 모든 전압을 다 공급받습니다.
+3.3v:시피유와 냉각펜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기
+5v:시피유와 냉각펜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기 + usb포트, IEEE 1394포트 + 램(100%)
+5vsd:컴퓨터를 부팅 시킬 때나 대기모드에 있을 때 사용
+12v : 시피유(100%), 메인보드(조금),모터를 사용하는 기기(HDD와CD-Rom 사용량 중 일부,냉각팬), 그리고 AGP포트 그래픽카드 사용량 중 상당부분(접지,어스)
-5v과 -12v:거의 사용하는 장비가 없음.
파워의 용량은 파워에서 지원하는 각각의 전압과 그에 상응하는 전류를 곱해서 더한 용량입니다.
때문에 총 용량만을 보구서 파워를 선택하는 것은 좋은 선택방법이 아닙니다.
4.어떻게 전력을 알아내나??
그럼 자신이 사용하고있거나 사용할 부품들의 소비전력을 알 수 있을까 궁굼하실겁니다.
물론 확신한것은 메뉴얼의 스펙부분에 대부분 기제 되어있는데...
우선 새로 사신다면 자신이 사용할 용도에 맞게 부품들을 보시고 그 스펙에 나와있는 전력량 기록해 놓습니다.(기존에 쓰시던 것을 보기 위해서는 메뉴얼을 보시거나 해당 홈페이지에 있는 제품정보를 참조합니다.)
일부 저가형은 없는 경우도 있고 오래되서 잃어버렸거나 하는등...알기 힘들때는 통빡(눈대중)으로 해도 어느정도의 총 전력량은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보통 펜티엄4 시피유의 경우 60W(1.6G)에서 100W(3G)이고 애슬론의 경우 60W(1500+)에서 80W(3200+)입니다.
램은 128은 10W, 512의 경우 20W가량합니다.
AGP 슬롯을 사용하는 그래픽카드의 경우 저사양(MX440)의 경우 20W 중고급사양의 경우(FX5600등)50~70W 최고급의 경우(FX6800등) 100W 가량 합니다.
메인보드는 25W, 사운드카드나 랜카드등은 4W정도 잡으시면 되고 냉각팬의 경우 개당 3W정도 잡으시면 됩니다.
하드는 25W 시디롬은 15W가량합니다.
그외 마우스나 키보드등의 주변기기는 개당 2W정도로 잡습니다.
각 부품별로 추가 기능이나 첨단 기술이 들어갈수록 전력소모량은 더욱 커집니다.
대부분의 경우 12V와 5V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메뉴얼등을 보시면 아실 수 있을것이며..자신에게 필요한 총 전력량 그리고 특히 많이 필요한 전압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5.결론은..
펜티엄4시피유에 중급형 그래픽카드,하드1개 시디롬1개...등을 설치한다면..300W가 필요하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겁니다.
물론 대략 250W를 조금 넘지만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선 여유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부팅을 한다거나 새로운 기기를 설치할때엔 위에서 말한 평균치에서 +30%가량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이는 대부분의 기기가 동시에 최고전력값을 추구할때가 있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HDD나 RW등을 몇 개 더 추가할경우에는 특히 +12V에 많은 전류를 할당한 파워나 350W파워가 좋습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펜티엄4로 올라오면서 그리고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급상승하면서 ..또한 그에따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열의 냉각을 위한 냉각펜을 위해서 12V가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해 졌습니다.
특히 +12V를 유의해서 살펴보시고같은 300W라도 전압별로 공급하는 전력량이 다른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자신이 많이 사용하는 전압을 많이 공급해주는 파워를 사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일반 혹은 정격 라이트 라고 부르는 300W파워는 최대출력이 300W인 것으로 일반의 경우 250W 정격라이트의 경우 280W정도를 안정적으로 지원합니다.
'컴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자료] 웹서핑중에 이쁜 플래시나 스위시글 내컴에 저장하는 방법 (0) | 2008.05.25 |
---|---|
중고노트북 구입 가이드 (0) | 2008.05.24 |
아는 만큼 쉬워지는 컴퓨터 팁(Tip) (0) | 2008.05.22 |
윈도우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08.05.22 |
오래된 컴퓨터 관리하는 방법 (0) | 200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