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화 >
|
1.칠곡토종홍화씨는 건강에 좋은 농산물입니다.
칠곡토종홍화씨는 칼슘,칼륨,마그네슘등의 영양소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서 건강식으로 아주 좋고 인기가 많습니다.
토종홍화씨는 신토불이 농산물입니다.
이런분께 권해 드립니다.
ㅇ나이가 드셔서 건강을 생각하시는 분
ㅇ교통사고 환자 병문안 갈때 좋음
ㅇ애기들 분유에 타서 같이 먹으면 좋음
ㅇ청소년들의 건강을 생각 할 때
ㅇ효도선물에 아주 좋음
ㅇ기업체 단체 선물로도 좋음
2.홍화는 무엇인가 ?
홍화는 몸에 이롭다고 해서 잇꽃으로도 불리워지는 홍화는 이집트가 원산지이며
중국, 인도, 일본, 미국 등에서 재배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신라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노랑색과 빨간색 물감의 원료로
널리 가꾸어 왔습니다. 조선시대까지 매우 흔한 식물이던 홍화가 사라져서 거의 볼수 없게 된것은
일제시대에 산업화의 물결이 밀어닥치면서 광물성 물감의 편리함에 의해서 입니다.
거의 멸종 되다시피 한 홍화의 가치가 다시 부활한것은 80년대 후반 민속의학자이신 고 인산
김일훈선생에 의해서 입니다. 고 인산 김일훈선생의 의서 신약, 신약본초에서는 우리나라에는
다른 지구상에 없는 감로정과 감로수의 기운으로 삼대신약의 비밀이 있는데
삼대신약의 첫째가 산삼이요, 둘째가 홍화씨요, 세째는 죽염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치료에는 죽염이 으뜸이고, 건강에는 홍화씨가 최고라 하셨습니다.
칼륨, 마그네슘, 칼슘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재배되는 식품중에서 으뜸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 홍화씨에는 희귀원소인 백금성분이 들어있습니다.
※ 홍화씨의 무기물질 분석
성분 |
수입산 홍화씨 |
국내산 홍화씨 |
알루미늄 |
28.3 |
60.8 |
금 |
- |
0.03 |
브롬 |
- |
1.883 |
칼슘 |
1020 |
1054 |
염소 |
388 |
591 |
코발트 |
0.054 |
0.028 |
구리 |
14.9 |
20.7 |
철 |
57.1 |
69.1 |
칼륨 |
5585 |
6429 |
마그네슘 |
2625 |
3149 |
나트륨 |
20.8 |
28.1 |
루비듐 |
6.24 |
11.15 |
아연 |
70.0 |
75.04 |
분석기기 : GMX 25190-p HpGe Detector |
※ 토종홍화씨는 기능 증진에도 확실한 효과가 있습니다.
4. 홍화씨 성분검사
KIST의 성분검사에서 습관성이 아니며 중독성과 독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부작용은 전혀 없고 장복을 해도 괜찮습니다. 단, 우리나라에서 난 토종이라야 되며
품종, 재배적지, 재배방법 등 엄선된 토종이라야 효과가 제대로 나고 중국산이나 미국산은
효과가 없습니다. 또한 토종홍화씨를 외국에 나가서 심어도 효과가 거의 없으니
우리 겨례만이 가진 위대한 보물입니다.
홍화씨 영양소 분류(홍화씨 100g 기준) | |
분석 |
결과 |
칼로리 |
465cal |
지방 칼로리 |
177cal |
지방 |
19.7g |
포화 지방산 |
1.6g |
콜레스테롤 |
0.04mg |
탄소 화합물 |
52.7g |
식이섬유 |
51.3g |
총당분 |
2.86g |
회분총량 |
3.24g |
단백질 |
19.2g |
비타민 A |
361 IU |
비타민 C |
6.75mg |
나트륨 |
50mg |
칼슘 |
197mg |
철분 |
7.0mg |
제출된 표본이 음식 관련 용도에 관한 FDA규정에 공인된 것임 |
종자는 기름을 30.2퍼센트, 종인은 기름을 45~49퍼센트 함유하고 있다.
종자의 기름은 리놀산 73.6~78.0퍼센트, 오레인산 12.0~15.2퍼센트,
그 외에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팔미토레인산을 함유하고 있다.
기름을 제거한 종인은 단백질을 61.5~63.4퍼센트 함유하고 있다.
혈을 잘 순환하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천연두로 인해 몸상태가 좋지 않은 증상, 부인의 혈기어체, 복통을 치료한다.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여성의 중풍과 혈열 번갈의 치료에는 홍화씨 9홉을 약간 볶아서 짓찧은 후 큰 숟가락
반숟갈에 물 1되를 붓고 7홉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이른 아침에 조금씩 복용한다."
홍화씨에는 백금 성분이 들어 있어 뼈를 빨리 붙게 한다.
홍화씨를 가루로 만들어 빈속에 복용하면 골절상에 잘 듣는다.
또한 골수의 밀도를 증가시켜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홍화와 홍화씨의 효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월경불순, 산후 어혈로 인한 복통, 복강내 종양, 어혈, 고혈압, 고지혈증, 눈병, 치매,
구강암, 다발성 피부농양, 동맥경화, 접골, 골다공증, 협심통, 종기, 입술튼데, 손발
아랫배 냉한데, 신경통, 관절염, 무월경, 욕창, 급만성 근육손상, 신경성 피부염,
십이지장궤양, 관상 동맥 질환, 뇌혈전, 생리통, 타박상등에 효험이 있다.
집안에 빈터가 있다면 홍화를 심고 가꾸어 가정 상비약으로 사용할 가치가 대단히 높다.
채집은 5~6월에 꽃잎이 황색에서 홍색으로 변할 때 대롱 모양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리거나
그늘에서 말리며 불에 쬐어 말리기도 한다.
불순물을 제거한 후 줄기와 잎, 꼭지를 떼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 심경에 들어간다.
피를 잘 순환하게 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어혈을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무월경, 복강내 종양, 난산, 사산, 산후현훈증, 어혈에 의한 동통, 옹종, 타박상을 치료한다.
하루 3~6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가서 우려내어 먹는다.
신선한 것은 짓찧어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시는 가루내어 뿌린다.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뱃속의 아기가 뼈가 튼튼해져서 출산때 힘이든다)
급만성 근육손상, 타박상, 염좌에 인한 피하 충혈, 종창, 욕창, 관상 동맥 경화증,
발바닥 갈라진데, 사용한다."
잇씨로 부러지거나 부서진 뼈를 치료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부러진 뼈를 유능한 접골의원이나 접골사를 찾아가서 제자리에 정확하게 맞춘다.
그 다음에 잇씨를 1냥(37. 5그램)이나 1냥 반쯤을 프라이팬에 바삭바삭할 정도로
살짝 볶아 가루로 내어 생강차나 쌀죽에 타서 밥 먹기 전에 먹는다.
토종 잇씨는 일 주일에서 열흘쯤이면 치유가 되지만 외국에서 수입한 잇씨는
거의 효과가 없고 외국산 잇씨를 우리 땅에 5년쯤 연속 재배하여
조금 토종화시킨 것은 보름에서 한 달쯤이면 치료가 된다
출처;khsmg님의블로그
홍화씨를 홍화자, 백평자라고 부른다.
|
|
방법 1. |
1. 홍화씨를 살짝 볶아 가루로 만듭니다.
2. 천으로 만들어진 자루에 담아 35도 이상의 술과 함께 담습니다. (술의 양은 홍화씨 양의 2~3배정도)
3. 술항아리를 잘 밀봉하여 어둡고 서늘한 곳에 3~4개월 정도 숙성시킵니다.
4. 친구나 가족들과의 친목모임에서 맛있게 나누어 마십니다.
단, 19세이상만 드셔야 하는 것 알죠?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화초로서 초장이 100cm 내외이고 줄기는 직립성입니다.
토종홍화는 옛날부터 잇꽃이란 이름으로 우리나라 에서 재배되었으며 잎이나 꽃받침에
날카로운 가시가 붙어있어 외 래종과 외관상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종자의 크기는
해바라기씨 정도 로 한 쪽이 약간 납작하며 노란색을 띠면서 갈색이 감돕니다.
홍화꽃잎은 예로부터 옷감염료나 연지, 입술화장품으로 이용되었으며 한방에서는 꽃잎은
통경제나 어혈을 풀어주는 파혈제등으로 귀하게 대접받아 오다가 일제시대에 거의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몇 년 전 의성(醫聖)으로 추앙받는 인산(仁山) 김일훈 선생의
저서 신약 본초」에 의하여 홍화씨가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약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경북 의성 토종홍화는 톱니처럼 가시가 있으면서, 껍질이 두꺼운것인 특징이며,
홍화씨의 성분에 대해서는 식품품질검사 기준으로 까다로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분석하고 공인하였습니다.
3-4월에 파종하여 7-8월에 수확하는데 키가 50cm정도 자라며 가지 끝에 노란색
(점차 붉은 색으로 변함)꽃이 한 송이 피고, 씨앗은 누루죽죽하고 메밀과 모양이 흡사하고
효능은 껍질에 있는데 토종 홍화씨의 껍질 에는 유기백금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약초·꽃·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옻나무의 효능 (0) | 2011.05.10 |
---|---|
병든 간 치유하는 어린 보릿잎 (0) | 2011.05.10 |
옥수수 수염의 효능 (0) | 2010.07.06 |
답답한 가슴을 확 뚫어 주는 상추의 효과 (0) | 2010.06.30 |
[산에서 나는 보약] 당귀(當歸) (0) | 201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