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레임, 사진 구도를 잡기 위해 카메라의 파인더를 통하여 화면을 구성해 보는 것을 말한다. 카메라의 위치나 방향을 바꾸거나 찍고자 하는 범위를 정하는 것인데, 가급적이면 불필요한 부분들이 화면을 차지하지 않도록 | ||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피사체를 가장 자리에 두고 찍을 것인가, 한 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부터 높게, 낮게 혹은 파인더 속에서 피사체와 관계하는 각종 선, 점, 면 등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만 프레임에 너무 집착해서도 안 된다. 촬영시 사진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여러 번 확인해 보는 것으로 충분히 좋아질 수 있다. 또한 뷰파인더를 통해 보이는 피사체가 안정적이거나 혹은 아름답다고 생각될 때까지 찍는 사람이나 피사체가 열심히 움직이면 된다. ![]() |
![]() |
![]() |
원근법은 평면의 공간에서 입체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렌즈로부터 피사체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는 원근의 가장 원초적인 조절이 된다. 사람의 눈은 앞에 있는 대상물의 크기와 뒤에 있는 대상물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 ||
장면의 깊이를 판단한다고 한다. 대상물이 크기가 비슷한 경우 그들이 나타내고 있는 차이가 크면 클수록 그들 사이의 거리는 더 먼 것처럼 여겨지는 일종의 착시현상을 느끼게 된다. 이는 몇 개의 피사체 또는 피사체의 일부를 렌즈 가까이에 붙여보면 왜곡되어 휠씬 크거나 작게 보여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 |
![]() |
![]() |
접사(macro) 촬영이란 피사체와의 거리가 30cm이하의 가까운 거리에서의 촬영을 말한다. 그러나 카메라마다 최단 초점거리가 있고,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는 초점이 거의 맞지 않는다. 대개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접사모드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접사모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보통의 디지털 카메라로는 10cm 정도의 접사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럴 경우 부분에 노출을 맞출 수 있는 스팟(SPOT)측광 방식이 유리하며, 되도록 삼각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접사촬영에 있어 꽃과 곤충과 같은 자연물을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에는 문서촬영이 새로운 활용방법으로 떠올랐다.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책을 읽다가 메모하고 싶은 부분을 촬영하면 매우 편리하게 고품질의 복사본을 얻을 수가 있다. 게다가 카메라 자체에서 문서촬영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 ![]() |
![]() |
'컴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자료] 컴퓨터 전기 요금 절약 방법 (0) | 2009.04.03 |
---|---|
[컴퓨터자료] 노트북 청소법 (0) | 2009.04.03 |
동영상 제대로 캡쳐하기 (0) | 2009.04.03 |
SHIFT키의 10가지 기능 (0) | 2009.03.28 |
컴퓨터 짱 되기 (0) | 200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