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3월 1일)

예성 예준 아빠 2009. 3. 2. 18:51

오늘의 역사 (3월 1일)


 [1919년] 3ㆍ1독립운동


동대문에서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는 시위 군중.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3ㆍ1운동은 우리나라 근대 민족운동의 분수령이었다. 이전 시기 개화운동과 민중운동 등 방향을 달리했던 세력들이 하나로 뭉쳤으며 이후 모든 운동이 여기에서 갈라져 나갔다.

 

운동이 소강 상태로 접어드는 4월 하순까지 팔도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는 모두 1,214건, 참가자는 약 110만명에 이르렀다. 시위대 중 7,500여 명이 사망했고 1만6,000명이 다쳤으며 4만7,000명이 검거됐다.


이런 전민족적 독립 의지를 바탕으로 4월 10일 중국 상해에서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입헌공화제를 채택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됐다.


그러나 3ㆍ1운동의 진정한 의의는 이런 외형적 성과보다도 사람들 가슴에 남긴 깊은 흔적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시기를 살았던 생각있는 사람 중 3ㆍ1운동을 외면할 수 있는 이는 없었다. 수많은 사람이 시위 대열에 가담함으로써 민족에 눈떴고 인생 행로가 바뀌었다. 당초 민족대표 추대를 거절했던 구한말 대신 김윤식마저 고민 끝에 일본에 독립요구서를 제출하고 일제로부터 받은 작위를 반납했다.





그 밖에 무슨일이 ....   총 60 건 

2006년 FOX 채널 개국   
2001년 제암리 3.1운동 순국 기념관 경기도 화성에 개관
2001년 북한-독일 국교수립
200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 바미얀의 1,500년전 고대 석불 파괴   
1999년 대인지뢰 금지협약 발효
1998년 홍콩 캐세이퍼시픽 항공사 소속 화물기가 한국전쟁 이후 비공산권 항공기로는 처음으로 북한영공을 통과
1997년 김용택 의원,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임명
1996년 제1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태국 방콕에서 개최(~2일)   
1995년 일제 강요에 의한 홍난파, 전영택 등의 친필 전향서 발견
1995년 4개시 9개구 분구(分區), 광역시 시계(市界) 확장   
1995년 직할시를 광역시로 개칭
1995년 케이블TV 시대 개막 - 20개 채널 개국   
1991년 사진의 현상과 인화 과정을 단일화한 미국의 발명가, 물리학자 랜드 사망
1989년 개정 한글맞춤법 시행
1989년 전국농민운동연합 발족
1987년 양영자-현정화, 제39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복식 우승
1980년 미국 하와이대에서 한국학센터를 개관
1977년 고리원자력발전 2호기 착공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명동성당에서 발표-`3.1 명동사건`   
1973년 내무부는 60년 만의 행정구역 대규모 개편내용 발표(7월 1일부터 실시)
1971년 육군 첫 독자적 복제령(服制令) 발표
1970년 로디지아, 영국에서 독립
1969년 국토통일원 개원
1966년 소련의 금성탐사용 `비너스3호` 3억km를 비행한 후 3개월반 만에 금성 도달
1965년 충청북도 일대 통금해제 실시
1965년 민세 안재홍 사망   
1963년 정치범 3,762명 가석방 조치
1962년 영국의 지하 핵실험
1957년 유엔총회에서 이스라엘군의 이집트령 철수 요구를 결의
1956년 동부전선에 폭설로 120명 사상사고
1955년 경기신문 창간
1955년 육군본부 대구에서 서울로 복귀
1954년 실향이민 교환
1954년 미국, 비키니도에서 수폭 실험
1952년 서울-타이완간 정기항로 취항
1950년 장개석 중국총통에 복귀
1947년 좌우익 3·1절 충돌   
1946년 남선경제신문(대구매일신문, 매일신문 전신) 창간
1945년 경부선 복선 개통
1945년 하지중장 남한 단독총선 발표
1943년 조선인징병제 공포
1937년 최현배 `우리말본` 간행
1934년 중국의 마지막 황제인 푸이(溥儀), 일본 괴뢰국인 만주국 황제에 즉위
1933년 괴벨스, 나치 선전상에 취임   
1932년 일본, 중국 동북지방에 만주국 수립   
1930년 소금 수입에 관한 令 공포
1925년 NHK 동경방송국 시험방송 개시
1924년 일본 정치가 무라야마 도미이치 출생
1923년 소파 방정환, 근대 아동문학의 요람이 된 월간 ‘어린이’ 창간
1922년 이스라엘 총리 이츠하크 라빈 출생
1915년 영국이 독일에 식량봉쇄를 선언
1911년 1901년 최초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네덜란드 물리화학자 호프 사망
1909년 영국 영화배우 데이비드 니븐 출생
1885년 영국 극동선대 거문도 불법 점령
1881년 러시아황제 알렉산더 2세 피살
1847년 영국 조각가 토마스 브록 출생
1815년 미국 유머 작가 토마스 소프 출생
1810년 폴란드 작곡가 프레데리크 쇼팽 출생
1737년 영국 왕비 캐롤라인 출생
1701년 독일 작가 브라이팅거 출생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역사 (3월 3일)  (0) 2009.03.13
오늘의 역사 (3월 2일)  (0) 2009.03.02
오늘의 역사 (2월 28일)  (0) 2009.03.02
오늘의 역사 (2월 27일)  (0) 2009.03.02
오늘의 역사 (2월 26일)  (0) 2009.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