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성탄절때 하는 레크레이션

예성 예준 아빠 2008. 11. 9. 19:40

성탄절때 하는 레크레이션(2) / 정미라


사라다게임(도입부터 마무리까지)


도입 :(사회자는 굳어있는 분위기를 풀기 위한 코멘트)
안녕하시렵니까?
저는 아름답고 멋있는 분 들 앞에만 서면 너무 떨려서 말도 잘 못합니다.
오늘은 참 편하군요.
먼저 옆사람과 인사하세요.
한 번 옆사람을 보세요. 그리고 눈이 마주치면 흥! 하고 튕기세요. 아주
냉정하게,
우리가 언제 튕겨봅니까. 이럴때 한번 원없이 튕겨 봅시다. 자 왕자되고
공주 되는 겁니다.
(여기까지 말하면 모르는 사람들도 어느정도 친분을 느끼게 됩니다.
짧은 안마로 스킨쉽을
유도하면 더욱 서로간에 잠재되어있던 적대감이 사라집니다.)
...죄송...시간이 없어서 다음에 마주 올리겠습니다.


나의 자랑거리


한사람씩 소지품을 꺼내 모두에게 보여주며 자랑하는데, 엉뚱하게 말이 되지
않는 것 같아도 그럴듯하게 재치있게 설명한 사람에게 박수와 재치상을 준다.



각 팀에서 세분-네분씩만 모시겠습니다.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시: 99/12/14 [15:28] 조회수: 1122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수 1.5리터를 정해진 시간에 같이 한꺼번에 먹게
한후 가장
많이 먹은 팀을 시상



에스키모인사


각 팀의 맨처음 사람의 코에 루즈를 묻힌후 코를 비벼 전달한후 맨 마지막
사람이 종이에 묻혀서 가장 많이 묻은 팀이 승리


- 온몸으로 연주하기 (다같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시: 99/12/14 [15:23] 조회수: 1209
도-발등, 레-발목, 미-무릎, 파-히프, 솔-허리, 라-어깨, 시-머리,
높 은도-두손들고 반짝반짝
나의 살던 고향(솔솔 미파솔 라라솔 --------)



포즈께임


준비물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의 글
- 예를 들어 " 세상을 이기신 예수님" 이 주제이고 팀이 3조
A4 절반에 "세상을 이기신 예수님" 9개 글자가 하나씩 적힌 종이 3 묶음

게임방법
1. 팀의 수대로 대표자를 부른다.
2. "세상을 이기신 예수님" 이란 글씨가 적린 묶움울 자신의 앞에 원하는
대로 펼치도록 한다.
3. 선수들에게 주의 사항과 방법을 일러준다.
1) 요구하는 몸 부위 말고는 다른 곳이 땅이 닿면 진다.
2) 앞의 글자중 사회자가 요구하는 글자4개의 글자를 왼존-오른손-왼발-
오른발 씩 차례대로 짚어간다.
왼손이 짚을 때 발을 떨어지거나 오른손이 사용되어서는 안됨
3) 왼손 - 오른손 - 왼발 - 오른 발을 차례대로 상황을 보아 가면 요구한다.
( 왼손: 이 오른손: 예 왼발: 님 오른발: 을
상황에 따라 학생들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무슨 글자를 부를 것인가를 요구할 수 있다.)
4) 이것을 다 행하면 넘어진팀은 실격으로 간주하고 가장 이상한 포즈와 힘든
노력을 하고 있는 팀을 우승자로 선정한다. (학생들에게 누가 더멋있는 포즈냐고
물어보아도 좋다)
좀더 짓굿은 방법은 한참 힘든 포즈를 취하고 있는 상태에서 찬양을 한 차례
부르는 것도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낼수 있다.



박수게임하나더 올려도 될까요

자장면박수이어서 이번에는 콜카콜라박수로 여러분에게 선사합니다.
맛있게 드세요
방법:콜라를 쥐는 행동을 하면서
잡고잡고 짝짝(병을 잡을행동)
따고따고 짝짝(명막개를 따는 행동)
잡고짝 따고짝
잡고따고짝짝 마지막으로 조금 재미있게 하려면는 재치있게 트름을
유발하면서 게임을 지도하면 된다.
많은 활용바랍니다. 다음에도 인간펌프만의 레크레이션을 올려
여러분에게 선사하게 습니다.


저도 한번 올릴까요

박수게임인데
지금 아이들이 자짜면을 좋아합니다.
그레서 자짜면 박수를 가르쳐드립니다
대상은 아동부 수준
그럼
일반적인 박수 게임과 동일
자짱면을 어떻게 만들죠 그렇조 반죽을 해서 그것을 늘리고 난후 만들죠
그것을 인용한 박수입니다.
그럼 박수 준비하면 아이들로 하여금 자짜면집에 메뉴아무것나
이름을 대게 한다.
예를들어 박수준비(아이들)짭뽕 짜짜면 이런식으로
치고치고 짝짝(행동을 반죽을 판에 치는 행동 )
늘리고 늘리고 짝짝(반죽을 잡고 늘리는 행동)
치고짝 늘리고 짝(동일)
치고늘리고 짝짝 (동일)
여기서 일반적인 박수 여기서 맞치는데 자짜면 박수는 치고늘리고 짝짝한후
마지막으로 짜짜면을 비비면서 입으로 들어가면서 맞있다. 하면서 끝난다.
이해가 안된시면 편지하세요



여러가지 박수



여러가지 박수
1.간호사 박수
엉덩이 살짝 볼기 짝 : 두손을 앞으로 내밀어 2번 모으\고 2번 벌린다.
엉덩이 살짝 볼기 짝 : 두손을 앞으로 내밀어 2번 모으\고 2번 벌린다.
때리고 때리고 (오른손으로 볼기를 때리듯) 짝짝
찌르고 찌르고 (왼손으로 주사놓는 동작) 짝짝

2.킹콩 박수
킹콩 ! 우~ : 주먹을 불끈쥐고 몸부림 치는 동작
쿵짝 : 오른손 주먹으로 가슴을 치고 손뼉 1번
쿵짝 : 왼 손 " " " " " "
쿵짝짝 : 오른손 주먹으로 가슴치고 손뼉 2번
쿵짝 : 왼 손 주먹으로 가슴을 치고 손뼉 1번
킹콩 : 주먹을 불끈쥐고 몸부림 치는 동작

3.꼬꼬댁 박수
여자 : 꼬꼬댁 꼬꼬댁 (남자 손바닦을 쪼면서) 짝짝
남자 : 꼬끼오 꼬끼오 (여자 손바닦을 쪼면서) 짝짝

4.구애 박수
남자 : 사랑해 사랑해 (하트 모양을 그리며) 짝짝
여자 : 으웩 으웩 (토하는 시늉) 짝짝
남자 : 그래도 사랑해 (두팔 비비 꼬면서) 짝짝
여자 : 싫어요 싫어요 (두팔로 거부하면서) 짝짝
남자 : 정말로 사랑해 (가슴을 풀어 헤치며) 짝짝
여자 : 몰라잉 몰라잉 (애교서럽게 두드리며) 짝짝

5.지도자 박수
오른손을 아래에서 위로 올리면 : 손뼉을 빠르게
왼손을 아래서 위로 올리면 : 함성을 크게
두손을 같이 내리면 : 절도있게 "땡"

6. 기차박수
리더는 모자를 쓰고 나와서 손수건을 꺼낸 후 몸 앞에서 흔드는데 손수건이
왼쪽으로 가면 입으로 '칙'소리를 내게 하고, 오른쪽으로 갈땐 손뼉을 치게 한다.
손수건을 천천히 움직이다가 빠르게 흔들고, 빠르게 흔들다 느리게 흔들고
하면서
어느 정도 흥미가 고조되면 머리에 쓴 모자를 벗어 올린다.
참가자들에게 "모자를 벗어 올리면 '뽁'하고 기적소리를 크게 내십시오.
"하면서 모
자를 썼다가 다시 벗어 올려 '뽁'하고 기적소리를 내게 한 후 좌, 우로
흔들다가 모자
벗기를 잘 섞어가면서 진행하면 빠른 시간내에 친숙하게 된다.

7. 박자 박수
(4박자, 3박자, 2박자, 1박자, 1/2박자)
리더는 4박자, 3박자, 2박자, 1박자, 1/2박자 등의 지휘방법을 연습한다.
4박자의 경우 1, 2, 3박자를 지나 마지막 박자에 갈 때 손뼉을 치게 한다.
2박자를 지휘할 때는 박수가 빨라지는데 더욱 빨리 지휘를(1박자)하면
우레와 같은 박수가 나온다. 이 때 리더는 정중하게 인사하면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렇게 성원해 주실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하면 엉뚱한 결과에 웃게 된다.

8. 계단박수
리더는 손뼉을 1, 2, 3, 4, 3, 2, 1의 순으로 치게 유도한다.
계단박수 시작! 하면 위의 숫자 순으로 치도록 한다.
이 때 치는 박수가 통일되지 않으면 몇 번 반복시키는 중에 박수에
열중하게 되어 자연히 리더에게 주목을 하게 된다.

9. 시계박수
양손을 기도하듯 모으고 좌우로 흔들며 혀로 '똑! 딱!'소리를 낸다.
리더가 "1시!"하면 손뼉을 한 번 치고 "3시!"하면 세 번 친다.
이 때 손뼉을 잘못 치면 벌칙을 준다고 협박(?)한다.
몇 번 되풀이 하다가 "15시!"(3번), "22시!"(10번), "3시 반!"(1번-30분에는
종을 한번 울린다.) 이러다 똑딱 소리를 빨리내며 동작을 빨리하다가 "8시!"하면
손뼉을 8회 빨리 치게 되는데 이럴 때 "이렇게 빨리 종을 치는 시계는 없습니다.
모두 틀렸습니다." 하면 모두가 폭소하게 된다.

10. 상하좌우 모션
'두 손을 머리 위로 반짝 반짝', '두 손을 내려 밑에서 반짝 빤짝', '두 손을
옆으로 벌려 헤젓고', '두 손을 가슴으로 모아 손뼉' 등을 구령에 맞추어
연습시킨다.
어느 정도 동작이 익숙해지면 윗 동작을 반대로 하되 틀리게 되면 술래가 되어
벌칙을 받는다.
즉, 리더가 손을 올리면 참가자는 손을 내리고, 손을 내리면 올리고,
박수치면 헤젓고, 헤저으면 박수치게 한다.
마지막에 가서는 박수를 치게 유도하여 끝을 내야 한다. 또, 노래를 부르되
처음에는 박자와 관계가 있게 하다가 익숙해지면 박자와 관계없이 유도한다.

11. 좋다 박수
지화자 폼(왼 손을 아래로 내려 뜨리고 오른 손을 위로 치켜 올리기)을 잡으며
입으로는 "좋다" 소리를 내고 손뼉 1회 치기
손뼉을 치고 나서 양 손은 위로 활짝 펴서 올린다.

12. 사이치기 박수
리더는 양 손을 펴서 상하로 교차시킨다.
양 손이 상하로 교차할 때 교차점에서 손뼉 한 번을 치게 한다.
점점 빨리 교차하다가 교차시키는 척하며 멈춘다.
이 때 "손뼉을 치는 사람은 앞으로 모시겠습니다"하며 협박(?)을 하면
분위기가 집중된다.

13. 고고박수
무릎 2번 손뼉 2번
양 손바닥을 펼쳐 좌우로 교차시키기(4회)
손뼉 치고 오른 손 돌려 밀어내기, 손뼉 치고 왼 손 돌려 밀어내기(4호)
오른 쪽 어깨 2회 들썩들썩, 왼쪽 어깨 2회 들썩들썩(4회)

14. 3박자 스테레오 박수
첫 번째 동작 - 무릎 1회, 손뼉 2회(가슴앞 1회, 머리위 1회) 치기
두 번째 동작 - 손뼉 1회(머리 위), 무릎 2회 치기
진행시 대상자를 두 팀으로 나누어서 번, 번 동작을 나누어서 주고,
진행시키다가 서로 바꾸어 가며 진행한다. 마주 보면서 하면 혼란을 일으켜서
더 재미있다.

15. 사랑의 박수(짝사랑)
무릎 2회, 손뼉 2회
양 손으로 사진 찍는 동작(윙크) 좌우로 각 2번
과 같음
양 손 검지로 꼬시는 동작 좌우로 각 2회
과 같음
손가락으로 툭툭 찌르는 동작 각 2회
과 같음
손바닥 뽀뽀 좌우로 각 2회

16. 찌개 박수
지글! 지글! (양 손바닥을 아래로 하고 붙였다 뗐다) 짝짝(손뼉 2회)
보글! 보글! (양 손바닥을 위로 하고 붙였다 뗐다) 짝짝(손뼉 2회)
지글! 짝, 보글! 짝
지글! 보글! 짝짝
* 처음에는 천천히 동작해 가다가 점점 빨라지면 흥미를 더하고,
동작이 익숙해지면
동작을 반대로 하여 진행하면 재미있다.

17. 탁구 박수
서브! 서브!(서브 넣는 동작 2회) 짝짝(손뼉 2회)
리시브! 리시브!(back으로 리시브하는 동작 2회) 짝짝(손뼉 2회)
서브! 짝, 리시브! 짝
서브! 리시브! 짝짝

18. 껌 박수
(1) 우리나라
오물! 오물!(입 근처에서 찌개박수의 지글!지글! 동작과 같음) 짝짝
조물! 조물!(입 근처에서 찌개박수의 보글!보글! 동작과 같음) 짝짝
오물! 짝, 조물 짝!
오물! 조물! 짝짝
찌~익!(입에서 껌을 떼내는 동작) 짝
(2) 미국
우리나라 비슷한데 혀만 꼬아서 한다.
(3) 러시아
'오물'을 '오물스키'(발음을 세게)로, '조물'을 '조물스키'(발음을 세게)로
바꿔서 한다.'찌~익'은 '찍스키'로 바꾼다.
(4) 일본
'오물'을 '오무리노'(동작은 작게)로, '조물'을 '조무리노'(동작은 작게)로
바꿔서 한다.
'찌~익'은 '찍이노'로 바꾼다.
(5) 북한
오무리니끼니! 오무리니끼니! 짝짝
조무리니끼니! 조무리니끼니! 짝짝
오무리니끼니! 짝, 조무리니끼니! 짝
오무리니끼니!조무리니끼니! 짝짝
오무리니끼니!(입에서 껌떼는 동작) 짝이야요!(힘없이 손뼉치며- 많이
굶고 살므로)

19. 아기 박수
곤지곤지(왼 손 바닥에 오른 손 검지로 찌르는 동작) 짝짝(손뼉 2회)
잼잼(손바닥을 위로 향해서 쥐었다 펴는 동작) 짝짝
도리도리(고개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 짝짝
곤지 짝, 잼 짝, 도리 짝
곤지, 잼, 도리 짝짝짝

20. 대문 박수
삐그덕!(주먹을 쥐고 문여닫는 동작) 짝(손뼉 1회)
찌그덕!(주먹을 쥐고 반대로 문여닫는 동작) 짝(손뼉 1회)
삐그덕! 찌그덕! 짝짝(손뼉 2회)
열고!(엄지손가락 양옆으로 세우기) 짝
닫고!(엄지손가락 밑으로 세우기) 짝

21. 지화자 박수
얼씨구!(춤사위) 짝, 절씨구!(반대쪽 춤사위) 짝
얼씨구! 절씨구! 짝짝

22. 좌우 박수
이쪽!(왼쪽 보기) 짝
저쪽!(오른쪽 보기) 짝
이쪽! 저쪽! 짝짝

23. 상하 박수
위에!(위 쳐다보기) 짝
아래!(아래 쳐다보기) 짝
위에! 아래! 짝짝

24. 주문 박수
박수 한 번 시∼작!
박수 두 번 시∼작
박수 세 번 시∼작
박수 다섯 번 시∼작 (짝짝, 짜자작)
박수 열한 번 시∼작 (짝짝, 짜자작, 짜자자작, 짜작)
박수 열 번→ 11-1=10이므로 열한 번 박수를 친 후 빼기(몸 앞에서
오른 손으로 빼기 동작)은 한 번 박수를 친다.
박수 백 번(102=100이므로 열 번 박수를 치고 양손으로 괄호를 한 후
오른쪽 어깨 위에서 박수 두 번(제곱을 의미) 한다.
박수 오십 번→ 100÷2=50이므로 백 번 박수를 치고 나누기(오른 손으로
반을 나누고 왼 손으로 윗 점을 찍고 다시 오른 손으로 아랫 점을 찍는다.)
한 후 두 번 박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