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통혁신으로 가격파괴를 주도하며 세계사에 등장한 세계 최초의 슈퍼마켓 `킹 컬렌`. |
뉴욕시 변두리 퀸즈의 자메이카 거리. 번잡한 쇼핑가에서 몇블 럭 떨어진 한적한 이곳, 어제까지 헌 차고였던 낡은 건물엔 `킹 컬렌`이란 빨강 글씨 간판이 드높이 매달렸다. 2백평이 넘는 매장은 골목 골목 선반이 줄을 이뤘고 그 위엔 통조림과 빵, 과일 등 식품이 넘쳐났다. 손님들은 점원의 안내없이 스스로 필요한 물건을 찾아 바구니에 담았다. 장보기 역사를 새로 쓰게 된 순간 이었다. 미국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슈퍼마켓`은 대혁신이란 말이 아깝지 않은 큰 변화였다. 창업자 마이클 컬렌은 상점에서 잔뼈가 굵은 사업가였다. 가난한 아일랜드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나 18살부터 상점 점원으로 일해온 그는 대공황과 대도시화, 자동차의 대량 보급이란 시대 변화에서 소매 상점의 일대 혁신 중심어를 찾아냈다. 값싸게, 빠르게, 대량 구매를! 손님과 물건 사이를 가로막는 장벽을 철폐하라! 컬렌의 아이디어는 명확했다. `가격 파괴`란 말은 이때 이미 등장했다. 켈런은 스스로를 `가격파괴자(price wrecker)`라고 불렀다. 가게 넓이를 당시 식품점 평균보다 3배 이상 확대하고 셀프 서비스로 점원수를 대폭 줄여 상품가격을 확 낮췄다. 판매 이윤도 낮췄다. 자동차를 타고 와서 한번에 많이씩 사가라고 매장보다 더 넓은 주차장 (parking lot)을 만들었다. 창업 2년 만에 킹 켈런은 미국 최대 슈퍼마켓으로 성장했다. 종업원 서비스가 없는`노 프릴(장식없는)` 상점으로 빅 베어가 뒤이어 등장했고, 식품 뿐 아니라 자동차용품, 문구류, 그릇, 생활용품, 라디오까지 파는 대형상점들이 1930년대 중반까지 미국 전역에 생겨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