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관련

[컴퓨터자료] 동영상 대용량 자르기, 소용량 동영상 합치기

예성 예준 아빠 2008. 5. 2. 11:11

여러개로 나눠진 mpg파일을 합치기

mpgzoin.exe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화질저하없이 간단히 합칠 수 있습니다.

혹 mpgzoin프로그램이 없을 경우 아래와 같이 해보세요.

준비물: Divx코덱, VirtualDub(프리웨어)

변환이유 : VirtualDub프로그램이 avi위주로 되어 있기 때문에 mpg파일을 avi로 변환
                Vcdcutter라는 프로그램도 있긴 하지만, 셰어웨어라 기능제한이 많아요...

순서 : 인터넷상에서 mpg(mpeg)파일을 다운받습니다. 만약 다운받은 파일이 avi파일이라면 구지 변경할 이유가 없습니다.

1. 우선 여러개의 mpg파일을 avi파일로 변경합니다.

방법 : virtualdub를 실행시킨 후 file - open video file - 변환하고자 하는 파일을 엽니다.

video - full processing mode로 선택 후 compression - divx mpeg4 fast motion(화질을 좋게 하려면 low motion)을 선택 - OK클릭
만약 divx mpeg....가 없다면 일단 virtualdub를 닫고, 아무 자료실에서 divx코덱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에 시작-프로그램- divx codec mpeg4 - Run Me First를 클릭해주면 설치가 되고, 그후에 virtualDub를 실행시키면 이제 보일 겁니다.

audio - full processing mode로 선택후 compression -  여기에서 MPGE Layer 3을 선택하고 20KBit/s...11,025 Hz...Mono 또는 Stereo를 선택합니다. 혹 compression키가 비활성창이라면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셔도 됩니다.
< 가끔 오디오 코덱으로 MPEG Layer-3을 적용하면 오디오/비디오의 Sync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그런 문제가 생기면 다른 코덱을 적용하시던지 아무런 설정없이 Direct Stream Copy로 저장하세요. > 

file - save as avi를 클릭하면 화면이 나오면서 avi파일로 바뀌는 과정이 보입니다.

2. 변경한 avi파일을 합칩니다.

변경한 파일(1.avi, 2.avi, 3.avi)

방법 : 버추얼더브를 실행한 다음 메뉴에서 'File→Open video file'을 선택해 첫번째 파일을 불러온 후 다시 메뉴에서 'File→Append avi segment'를 선택해 두 번째 파일을 불러옵니다. 그런 다음 'Video'와 'Audio' 항목을 모두 'Direct stream copy'로 지정하고 메뉴의 'File→Save as AVI'를 선택해 저장하면 완성작을 볼 수 있습니다.
< 파일을 합칠 때 주의 할 것은 개개의 파일이 완전히 동일한 파일이어야 합니다..사이즈, 사용한 코덱, 파일 포맷 등..예를 들면 352*240의 avi 파일 하나와 320*240 파일 하나를 합치면 당연히 문제가 발생하겠죠.>

 

용량이 큰 동영상을 분할하기

동영상의 크기가 700MB가 넘어 CD 한 장에 담을 수 없을 때는 파일을 분할해야죠 (물론 800MB CD를 사용해도 됩니다). 이럴 때에도 버추얼더브(VirtualDub)를 이용하세요. 물론 Avichop 같은 AVI 파일 분할 유틸리티가 있지만, 정확한 프레임에 따라 파일을 분할하려면 버추얼더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①버추얼더브에서 해당 동영상(AVI)을 불러온 다음, 하단의 위치 선정 막대에서 파일을 나눌 위치를 지정합니다. 위치를 제대로 잡았으면, 메뉴에서 'Edit→Set selection start'( )를 선택합니다. 즉 이 부분부터 시작한다 뭐 그런겁니다.

다시 마우스로 Slider Bar 를 드래그 하던지 키보드의 화살표키를 이용해서 자르고자 하는 부분으로갑니다. (키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1frame 씩 움직이게 됩니다.)  원하는 부분으로 갔다면 거기서 키보드의 End키 또는 Position Controler에서   을 누릅니다.
이제 Video => Direct stream copy / Audio => Direct stream copy를 선택하고 File => Save segmented AVI로 가서 첫 번째 조각을 저장합니다. 꼭, 메뉴의 'Video' 및 'Audio' 항목은 모두 'Direct stream copy'로 지정해야 합니다.

③다시 End 키를 눌렀던 위치에서 Home키 를 누릅니다. 이제 두 번째 조각을 추출합니다.  Slider Bar를맨 끝으로 드래그 합니다. 그리고 End키 를 칩니다. File => Save segmented AVI - 첫 번째 조각과 구별되게 다른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주의 사항 : 파일을 자를 때는 Key Frame(*.avi), GOP(*.mpg) 단위로 파일이 잘려 집니다. MPEG 4 규격의 AVI or ASF(DivX, MS MPEG4 v1~v3) 는 일정간격으로 Key Frame이 적용되어 있어 원하는 부분을 정확히 잘라 내기가 까다롭습니다. 이럴땐 로 단위를 조절해서 범위를 설정하세요.

용어 해설(Key Frame) - 비디오 파일 압축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키 프레임입니다. 여러 프레임 중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프레임씩을 선택하여 해당 프레임을 키 프레임으로 지정합니다. 압축을 할 때에 키 프레임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영상은 전체를 모두 저장합니다. 그리고 키 프레임 사이의 영상들은 키 프레임과 비교하여    바뀐 부분만 저장합니다. 그랬다가 압축을 해제할 때에는 키 프레임을 기준으로 다른 프레임들을 구성하여 영상을 재생합니다.

(GOP) - MPEG은 모두 3가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I 프레임, P 프레임, B 프레임입니다.
대충 예를 들면, I BB P BB P BB P BB I BB P BB P BB P BB I... 이런식으로 가죠..여기서, I 프레임부터 다음 I 프레임 전까지의 프레임 모음을 GOP (Group Of Pictures) 라 부릅니다.
※ Virtual Dub에서 File Information을 하게되면 I,B,P 프레임의 수와 할당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rtual Dub 이란 ?

  • 기본적인 기능 - 이 프로그램은 프리웨어이며 (mpg,asf) => avi 로 바꿀 수 있습니다.
  • OpenDML 지원기능 - AVI의 2기가 제한이 없는 새로운 방식으로 FAT32의 최고 크기인 4기가까지 AVI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Direct Stream Copy 기능 - 동영상의 재압축 없이 AVI 파일을 자르거나 붙이는데 상당히 유용합니다.
  • Frameserver 기능 - 을 이용 해 캡쳐한 대용량 파일을 인코더와 연결하여 압축할 수 있습니다.
  • 필터 기능 - 을 사용해 동영상 파일에 새로운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Preview를 통해 랜더링 없이 곧바로 적용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rtual Dub의 4가지 Video Processing Mode 중 2가지.....

  • Full Processing Mode : 이 모드는 default(기본값)로 설정되어 있으며, Compression(코덱)을 사용해서 비디오를 재압축한다던지 Filter을 적용할 때 사용합니다. 4가지의 Video Mode 중 가장 느리게 진행 합니다.
  • Direct Stream Copy : 말 그대로 in점과 out점 사이 또는 전체의 Video Data를 곧바로 복사합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손실은 없습니다..단지, Key Frame(GOP) 단위로만 작업이 이루어 집니다. 네가지의 Video Mode 중 가장 빠릅니다.  

 

Virtual Dub으로 손상된 프레임만을 삭제하기

해당 파일을 불러들입니다. 제거하고자 하는 프레임으로 이동을 합니다. 이동하실 땐 좌,우 키는 각각 1프레임씩 이동합니다. Shift + 좌,우 키는 Key Frame 단위 또는 I Frame 단위로 움직입니다. 잘라 내고 싶은 첫 프레임으로 이동을 하셨다면 키보드의 Home 키 또는 을 눌러서 Start를 잡습니다. 그리고 다시 키보드 등을 이용해서 잘라내고 싶은 마지막 프레임으로 이동을 하고 End 키 또는 을 눌러 End 부분을 잡습니다. 그럼 아래에서 이런 그림 을 보실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키보드의 Del 키 또는 파일 메뉴의 Edit => Delete Frames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저장을 하실 땐 Audio / Video 모두 Direct Stream Copy...를 선택하시고 Save segmented AVI 로 저장...

 

Virtual Dub으로 asf => avi로 변환

우선 open video file(Ctrl+O)...해서 asf 파일 하나를 불러들입니다. Video / Audio Mode를 모두 Direct Stream Copy..로 설정을 하고 save avi(F7)..해서 저장을 합니다.....
※ Virtual Dub은 1.4 버전 이상 부터는 asf => avi 변환이 되지 않습니다...(1.4 이하 버전은 asf 파일이 Open 가능하게 패치시킨 겁니다..) 그리고 완전하지 않은 asf 파일이나 상당히 압축된 파일도 변환이 되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거의 먹히지 않습니다.

동영상이 있는 파일중 asf=>mp3파일로 안되는 경우엔 다음의 글을 참조하시오.

이때에는 vcdcutter를 이용해 동영상 => avi파일로 변경기능을 선택하여 비디오(divx-codec), 오디오(mpeglayer-3)를 선택 한 후에 avi파일로 변경하라. 이때 변경된 파일은 확장자가 없으므로 꼭 확장자만 avi파일로 바꿔주면 된다. 그 다음에 virtualdub에서 avi파일을 불러와서 wav파일을 추출하여라. 그후에 꼭 shuffler converter를 이용하여(wma workshop을 이용하면 에러만 난다.) wav파일을 mp3로 바로 convert해주면 멋지고, 용량이 적은 mp3파일로의 탄생이 이루어진다.     

Virtual Dub으로 avi, mpg, asf => wav 파일 추출하기.
[응용 :
*asf파일을 mp3로 변환: virtualDub를 이용하여 wav추출후 shuffler converter나 wma workshop을 이용mp3로 변환(wma work shop이 성능이 훨씬 좋다. 다만, 날짜제한이 있는 셰어웨어라는 점만 빼고는 말이다.) 하거나 또는
간단하게 asf를 wma로 바꾼후에 converter, wma workshop을 이용하여 mp3로 변환하면 된다.
참고로 만약 wma, asf가 상당히 좋은 음질인 경우에는 shufflerconverter를 이용하면 음질이 약간 변질이 된다(wma workshop은 제외). 이를 보완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깨끗한 음질이 된다.
wma를 shufflerconverter를 이용하여 wav(제일품질좋게)로 바꾼후 mp3로(제일품질좋게)바꾸면 음질변화없이 깨끗한 음질의 mp3로 바꿀 수 있다.

버추얼 덥에서 불러들일 수 있는 비디오 파일 하나를 불러들입니다. 단축키는 (Ctrl+O)

Audio => Compression으로 갑니다. 여기서 무압축 PCM을 선택합니다.
< 무압축 PCM을 선택하면 용량이 원시 Wav파일(분당 10M정도..)처럼 상당히 불어 납니다. 압축을 원한다면 MPEG Layer-3이나 다른 코덱을 사용하면 됩니다..단지 압축등의 이유로 작은 문제가 생긴다면 무압축 PCM을 사용하는게 안정적입니다.>

< Virtual Dub에서 WAV 파일을 저장할 때 기본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이 PCM 무압축 방식이더군여. 그러니 위와 같이 하셔도 되고 아니면....Compression 설정을 제외하고 Audio 모드를 Direct Stream Copy로 설정한 다음 곧바로 Save WAV...로 저장하셔도 됩니다. >

Audio Mode는 Full Processing Mode를 선택하고 File => Save WAV...해서 저장을 하면 됩니다.
< 위와는 반대로 불러들인 비디오 파일에서 오디오를 제외한 비디오 파일만 저장하고 싶을 땐 Audio 메뉴에서 No audio를 선택하고 Video 모드를 Direct Stream Copy 로 하시고 저장을 하면 됩니다.>

이렇게 저장된 파일은 파일 확장자가 없이 저장되므로 이름바꾸기를 통해서 이름.wav를 직접 입력해주면 제대로 된 wav파일이 완성됩니다.

용어 해설(PCM) -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이란 음성신호를 1과 0으로 디지탈 신호화한 상태에서 기록, 재생 또는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론상 신호의 변질이 없는 뛰어난 방식입니다. PCM 방식은 CD음질과 같은 수준을 나타내며 DV 방식에서 음성기록의 표준 규격이기도 합니다.

 

WAV파일 용량 줄이기

위에서도 잠깐 언급을 했지만 이 wav 파일은 용량이 상당히 큽니다. 그럼 이렇게 큰 wav 파일의 용량을 팍! 줄여 보겠습니다.

Virtual Dub을 실행시키고 오디오 / 비디오가 포함된 비디오 파일 하나를 불러들입니다.. 그리고 곧바로
Audio => Compression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반드시 압축 코덱을 아래와 같이 적용을 합니다. DivX의 Audio 코덱 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겁니다.

위와 같이 설정을 하고 Audio 모드를 Full Processing Mode로 합니다. 마지막으로 File => Save WAV..을 하고 저장을 합니다.
< 이렇게 하면 적어도 용량이 1/20 정도로 줍니다. 대략 1분에 10M 정도의 wav 파일이 500k 정도의 wav로 둔갑을 합니다.. 만약 화질을 그대로 유지한 채 용량을 줄이려면 전체적인 과정은 이렇게 됩니다.>

          1. 비디오 (A/V 포함) 파일을 불러들이고 오디오 부분을 No Audio로 한 다음 비디오만을 따로 저장합니다.

          2. 그리고 바로 위의 과정(Wav 파일 추출하기)대로 Audio 파일을 저장합니다.

          3. 마지막으로 아래의 과정(avi + wav 합치기)을 참고하여 비디오와 wav를 합칩니다.  => 이과정을 거치게
             되면 전체적인 오디오 부분에서 차지하는 용량이 1/20으로 줄어들지만 비디오의 화질은 유지되고 파일
             전체의 용량도 줄어 들게됩니다.  

Virtual Dub으로 avi(video only) + wav 합치기

Ctrl + O를 해서 음성이 없는 비디오 파일 하나를 불러들입니다. 그리고 Video 모드를 Direct Stream Copy로 설정을 합니다.

메뉴의 Audio => WAV Audio...로 갑니다. 그럼 자동으로 wav 파일 선택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비디오 파일과 합칠 wav 파일 하나를 선택합니다. Audio 모드는 Direct Stream Copy로 설정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File => Save AVI(F7)을 하고 저장을 하면 됩니다.     

 

참고) 동영상 파일 포맷 변경은 어떻게?

우리가 알고 있는 동영상 파일 포맷은 다양하다. MPEG 기술을 기반으로 한 AVI, MPG, ASF 등을 비롯해 비디오 CD의 파일 포맷인 DAT, 애플사의 MOV 파일 등….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다른 포맷으로 변경해 주는 유틸리티는 일반 공개 자료실에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VCDCutter가 있다. 단점은 기능제한이 있는 셰어웨어라는 점이다.

VCDCutter는 원래 동영상 파일을 자르고 붙이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인데, 프로그램 메뉴에서 다른 파일 포맷으로 변환해 주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메뉴의 'Tools'를 클릭하면 하위 메뉴에서 MPG 파일 분할, DAT→MPG 변환, AVI→MPG 변환, MOV→AVI 변환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 ASF 파일을 AVI 파일로 변환하려면 최신 버전이 아닌 버추얼더브 1.3c 및 그 이전 버전을 이용하면 된다. 1.3c 다음 버전(1.3d)부터는 MS와의 저작권 문제 때문에 ASF를 AVI로 변환하는 기능이 빠졌다. 버추얼더브에서 ASF 파일을 불러온 다음, 오디오와 비디오 변환 값을 설정하고 AVI 파일로 저장하면 된다.


참고) ASF를 AVI로 변환하는 이유는?

ASF는 데이터를 읽어들이면서 단계적으로 전송해 주는 스트리밍 기술을 기반으로 한 파일 포맷이다. 한 번이라도 ASF 파일을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로 재생해 본 사용자라면, 검색 슬라이더를 이용해 동영상을 건너뛰며 감상할 때 해당 장면으로 곧바로 이동하지 않고 몇 초간 스트리밍되는 것을 경험했을 것이다.

ASF를 AVI로 변환하면, 화질에 있어서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이러한 스트리밍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을 건너뛰며 감상하거나 중간중간 장면을 검색할 때 지체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ASF 파일이라 하더라도 헤드나 인덱스 부분이 손상된 상태라면 버추얼더브에서 불러올 때 에러가 나므로 AVI 파일로 변환할 수가 없다.